Research Artic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30 December 2018. 655-668
https://doi.org/10.22696/jkiaebs.20180054

ABSTRACT


MAIN

  • 서 론

  • LEED Canada 인증기준과 연구방법

  •   LEED Canada 인증제도

  •   LEED Canada 인증건축물 현황

  •   분석대상과 방법

  • 카테고리별, 세부평가항목별 적용현황과 적용특성 분석

  •   카테고리별 적용현황 분석

  •   세부평가항목별 적용현황 분석

  • 결 론

서 론

녹색건축물은 에너지고갈, 환경오염 등의 지구환경에 대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어 기후변화 협약이 채택된 선진국을 중심으로 녹색건축물 보급이 활성화되고 있다. 건축물의 자재생산단계, 설계, 건설, 유지관리, 폐기에 이르는 건축물의 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와 자원의 사용 및 오염물질 배출과 같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2002년부터 녹색건축 인증제도를 운영해오고 있다. 향후 많은 건축물이 에너지절약, 자원절약 및 재활용, 자연환경 보전,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 폐기까지의 생애주기에서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정책도 함께 개발, 적용해 오고 있다(한국환경건축연구원, 2016).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국내에서 인증 받은 녹색건축물 수도 매년 크게 증가하여 2017년 기준 총 9,731건(예비인증, 본인증 합계)을 기록하였다(https://www.gbc.re.kr/index.do). 이처럼 녹색건축 인증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녹색건축 인증을 받은 개개 건축물에 대한 인증데이터는 지금까지의 인증과정들을 고찰하고 실제적으로 현장에서 채택되고 있는 요소기술의 현황과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 근거자료 뿐 아니라, 향후 녹색건축 활성화를 위한 인증기준 개정과 전략수립에 대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개개 인증 건축물에 대한 인증자료들은 녹색건축설계 시 해당기술의 수준과 적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적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실질적인 참고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녹색인증 건축물의 평가항목별 득점현황을 분석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아직 국내에서는 인증건축물에 대한 개별 인증데이터가 일반에 공개되지 않아 이에 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황선영 외(2016)는 업무용 건물에 국한하여 녹색건축 인증등급별 평가항목 득점현황을 분석하여 적용된 기술수준을 제시하였다. 김동희 외(2010)는 인증건축물의 용도별 인증결과를 분석하여 개략적인 항목별 난이도를 도출한 바 있으며, 이성옥 외(2013)는 특정시기 인증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평가항목별 득점현황을 파악하여 인증기준 재정비를 위한 기반연구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모혜란 외(2012)는 26건의 업무용 인증건축물에 대한 득점현황을 분석하여 등급체계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밖에도, LEED 기반의 해외 녹색건축인증 건축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분석연구도 발표되고 있다(최동호와 김춘동, 2011; 이성옥 외, 2013; 최동호와 김가희, 2013; 안동준, 2016).

본 연구는 녹색 요소기술에 대한 적용성과 기술수준을 외국의 녹색인증 건축물 사례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녹색인증 건축물의 인증득점표 분석을 통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요소기술의 현황과 기술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실제 녹색건축 설계 시 해당 요소기술의 적용비율과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실무적 근거자료를 제시하여 설계기술 향상에 기여하고, 장차 국내 녹색건축 인증기준 재정비에 대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사례가 있고 LEED 기반의 인증제도로 미국이외 지역의 적용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LEED Canada 인증건축물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2011년부터 2016년 사이의 인증건축물 중 득점표(Score card)가 입수된 1,010개의 건축물에 대한 녹색인증 카테고리별, 세부항목별 득점현황과 적용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논문은 다수의 실제 인증 건축물의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이라는 측면에서 1차 데이터 값 제시에 비중을 두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LEED Canada 인증기준과 연구방법

LEED Canada 인증제도

캐나다에서는 USGBC (US Green Building Council) LEED 기반 녹색건축인증시스템으로 개발된 LEED Canada를 2004년부터 운용해 오고 있으며, 건축물의 건강성, 에너지 및 환경성능을 인증하기 위한 평가 도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LEED Canada는 CaGBC (Canada Green Building Council)에서 운영하는 녹색건축물 인증시스템으로 USGBC의 LEED New Construction & Major Renovations Version 2.1 (2002)을 바탕으로 캐나다의 기후, 건설 관행 및 규정 등 캐나다의 여건을 반영하여 만든 것이며, 2004년 12월 LEED Canada for New Construction & Major Renovations Version 1.0으로 개발되었다. 그 이후 LEED Canada NC 1.0 plus addendum Version(2007년)으로 개편 운영된 후, 2010년에는 LEED Canada NC 2009 Version으로 재개편되었고, 주요변경사항으로는 총점이 70점에서 110점 만점으로 변경된 것과 항목의 개별 가중치 변경, 사용 편의성 증진 등이 있다. 2018년에는 LEED v4.1로 개편되어 에너지성능 향상, 건강성 강화, 통합건물설계에 비중을 강화한 인증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기준은 인증버전 차이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고 인증건축물 수가 가장 많은 LEED Canada NC 1.0 버전으로 평가한 건축물 중 인증 득점표가 공개된 건축물에 국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LEED Canada NC 1.0은 지속가능한 대지(Sustainable Sites, 이하 SS라 칭함), 수자원 효율화(Water Efficiency, 이하 WE라 칭함), 에너지와 공기환경(Energy & Atmosphere, 이하 EA라 칭함), 재료와 자원(Materials & Resources, 이하 MR이라 칭함), 실내환경 품질(Indoor Environmental Quality, 이하 EQ라 칭함), 혁신과 디자인(Innovation & Design Process, 이하 ID라 칭함)의 총 6개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카테고리 별로 친환경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평가항목들은 필수 기본항목과 취득가능 점수로 이루어지며, 필수 기본항목은 프로젝트의 성격상 반드시 취득해야 하는 항목들로서 수치, 품질, 기능의 가치 등 인증시스템에서 반드시 만족되어야 하는 항목을 의미하고 있어서 모든 프로젝트는 필수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점수는 총 70점까지 득점할 수 있으며, 득점한 점수에 따라 Platinum(52점 이상), Gold(39~51점), Silver(33~38점), Certified (26~32점)의 4단계로 등급이 부여된다. LEED Canada는 USGBC의 LEED를 바탕으로 개발되어 체계상으로는 이와 상당부분 유사성을 가진다.

LEED Canada 인증건축물 현황

연도별 인증건축물 증가추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LEED Canada 인증건축물 현황(Canada Green Building Council, 2016)을 Figure 1에 나타내었다. 연도별 누적 인증신청 건축물 수와 인증획득 건축물 수는 인증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해가 거듭할수록 지속적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6년 기준 누적 인증신청 건축물 수 6,961건, 누적 인증획득 건축물 수 2,990건을 나타내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18-012-06/N0280120611/images/Figure_KIAEBS_12_6_11_F1.jpg
Figure 1.

LEED Canada Cumulative Registrations/Certifications

분석대상과 방법

본 연구에서는 LEED Canada NC 1.0 인증건축물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 범위는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11년~2016년의 인증 건축물 중 득점표가 입수된 건축물 용도, 규모, 지역 등이 상이한 1,010개 건축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녹색인증 카테고리별, 세부항목별 득점현황과 적용률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1. Certification status of buildings subject to analysis by year

Certified year Rating system Number of certified buildings Total percentage (%)
2011 LEED Canada NC-1.0 93 9.2
2012 184 18.2
2013 231 22.9
2014 224 22.2
2015 185 18.3
2016 93 9.2
Total 1,010 100

카테고리별, 세부평가항목별 적용현황과 적용특성 분석

본 연구에서 카테고리별, 세부평가항목별 적용현황은 주로 총 획득가능 점수 대비 실제 획득 점수를 비율로 나타낸 적용률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분류상 75% 이상을 상(上), 50~75% 미만을 중(中), 50% 미만을 하(下)로 정의하였다(안동준, 2016). 또한 필수항목(Prerequisite)은 인증을 받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전제조건이므로 적용률 산정에는 제외하였으며, 적용률은 선택항목이라 할 수 있는 Credit 항목만으로 산정하였다.

카테고리별 적용현황 분석

LEED Canada 인증건축물에 대한 카테고리별 득점현황과 적용률을 Table 2, Figure 2에 나타내었다. 먼저, SS 카테고리에서는 14점 배점에 Platinum 등급이 10.79점, Gold 7.52점, Silver 5.93점, Certified 4.88점을 득점하여 각각 77.1%, 53.7%, 42.4%, 34.9%의 득점률을 나타내어 Platinum등급에서만 적용률 상(上)을, Gold 등급 중(中), Silver와 Certified 등급에서는 하(下)의 적용률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2. Results of scoring and adoption rates by each category

Category Points Platinum (point) Adoption rates(%) Gold (point) Adoption rates(%) Silver (point) Adoption rates(%) Certified (point) Adoption rates(%)
SS (Sustainable Sites) 14 10.79 77.1 7.52 53.7 5.93 42.4 4.88 34.9
WE (Water Efficiency) 5 4.86 97.2 3.97 79.4 3.78 75.6 3.60 72.0
EA (Energy & Atmosphere) 17 13.54 79.6 8.86 52.1 6.42 37.8 4.65 27.4
MR (Materials & Resources) 14 7.29 52.1 6.54 46.7 6.01 42.9 5.35 38.2
EQ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15 12.61 84.1 9.68 64.5 8.48 56.5 6.78 45.2
ID (Innovation & Design Process) 5 5.00 100.0 4.62 92.4 4.25 85.0 3.63 72.6
Total score 70 54.07 77.2 41.19 58.8 34.87 49.8 28.88 41.3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18-012-06/N0280120611/images/Figure_KIAEBS_12_6_11_F2.jpg
Figure 2.

Results of adoption rates by each category

WE 카테고리는 5점 배점에 Platinum 4.86점(97.2% 득점률), Gold 3.97점(79.4%), Silver 3.78점(75.6%), Certified 3.60점(72.0%)을 득점하여 Platinum 등급에서 상(上)의 적용률을, Gold, Silver, Certified 등급 모두 중(中)의 적용률을 나타내어 모든 인증등급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카테고리 중 배점(17점)이 가장 높은 EA의 경우 Platinum 13.54점(79.6%), Gold 8.86점(52.1%), Silver 6.42점(37.8%), Certified 4.65점(27.4%)을 획득하여 Platinum 등급에서만 상(上)의 적용률을, Gold는 중(中)의 적용률을, Silver와 Certified등급에서는 하(下)의 적용률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EA 카테고리가 인증등급별 득점과 적용률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어 에너지에 관련된 요소기술의 적용에는 현실적인 한계점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MR 카테고리는 14점 배점에 Platinum 7.29점(52.1%), Gold 6.54점(46.7%), Silver 6.01점(42.9%), Certified 5.35점(38.2%)을 득점하여 Platinum 등급에서조차 간신히 중(中)의 적용률을 얻는데 그쳤고, Gold 이하 등급에서는 모두 하(下)의 적용률을 기록함으로서 적용문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15점 배점으로 EA 다음으로 높은 배점인 EQ 카테고리는 Platinum 12.61점(84.1%), Gold 9.68점(64.5%), Silver 8.48점(56.5%), Certified 6.78점(45.2%)을 득점하여 적용률에서 Platinum 상(上), Gold와 Silver 중(中), Certified 하(下)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어 인증등급 간 적용률에서는 변별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WE와 함께 가장 낮은 배점(5점)이 부여된 ID 카테고리에서는 Platinum 5.00점(100%), Gold 4.62점(92.4%), Silver 4.25점(85.0%), Certified 3.63점(72.6%)을 득점한 것으로 집계되어 중(中)의 적용률을 나타낸 Certified를 제외하고는 모든 등급에서 상(上)의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ID는 모든 등급에서 가장 높은 적용률을 나타내는 카테고리 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인증등급별 적용률에서는 Platinum 등급의 경우 MR을 제외한 모든 카테고리에서 상(上)의 적용률을 나타내어 계획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졌음을 암시하였다. Gold 등급은 상(上)의 적용률을 나타낸 WE와 ID, 하(下)의 적용률을 나타낸 MR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중(中)의 적용률을 나타내었고, Silver 등급은 상(上)의 적용률로 평가된 WE와 ID, 중(中)으로 평가된 EQ를 제외하고는 나머지 3개 카테고리에서 하(下)의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Certified 등급은 2개 카테고리에서 중(中)의 적용률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카테고리는 하(下)의 적용률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부평가항목별 적용현황 분석

지속가능한 대지(Sustainable Sites, SS)

SS는 대지선정, 대지개발, 대체교통 수단, 사이트 방해 감소, 우수관리계획, 열섬현상, 빛 공해 등에 관련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항목별 득점현황 분석결과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SS 카테고리의 분석대상 인증건축물의 득점 평균값은 14점 만점에 7.28점으로 집계되어 52.0%의 득점률을 나타내었다. 인증 등급별 득점상황을 살펴보면 Platinum 10.79점(77.1%), Gold 7.52점(53.7%), Silver 5.93점(42.4%), Certified 4.88점(34.9%)을 획득한 것으로 분석되어 인증등급 간 뚜렷한 득점률 차가 확인되었다.

Table 3. Analysis of the score of each item by certification levels (Sustainable Sites category, SS)

Credit Contents Points Average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SS 1 Site Selection 1 0.91 0.93 0.93 0.90 0.87
SS 2 Development Density 1 0.26 0.43 0.27 0.16 0.16
SS 3 Redevelopment of Contaminated Site 1 0.19 0.32 0.23 0.16 0.07
SS 4.1 Alternative Transportation - Public Transportation Access 1 0.59 0.75 0.60 0.51 0.50
SS 4.2 Alternative Transportation - Bicycle Storage & Changing Rooms 1 0.92 1.00 0.94 0.89 0.83
SS 4.3 Alternative Transportation - Alternative Fuel Vehicles 1 0.35 0.68 0.39 0.24 0.11
SS 4.4 Alternative Transportation - Parking Capacity 1 0.53 0.79 0.51 0.46 0.37
SS 5.1 Reduced Site Disturbance - Protect or Restore Open Space 1 0.30 0.79 0.27 0.11 0.03
SS 5.2 Reduced Site Disturbance - Development Footprint 1 0.58 0.86 0.53 0.47 0.45
SS 6.1 Storm water Management - Rate and Quantity 1 0.47 0.89 0.50 0.30 0.17
SS 6.2 Storm water Management - Treatment 1 0.44 0.82 0.50 0.33 0.12
SS 7.1 Heat Island Effect - Non-Roof 1 0.39 0.75 0.43 0.24 0.15
SS 7.2 Heat Island Effect - Roof 1 0.74 0.89 0.79 0.70 0.60
SS 8 Light Pollution Reduction 1 0.60 0.89 0.62 0.45 0.45
Subtotal score 14 7.28 10.79 7.52 5.93 4.88
Adoption rate (%) - 52.0 77.1 53.7 42.4 34.9

각 세부항목의 득점 특성을 살펴보면, 환경에 민감한 토지 개발을 피하고 부지의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지선정(SS 1)은 많은 건축물이 정비된 토지구획 내에 건축되어 91%의 높은 득점률을, 자전거 보관소 및 갱의실 설치를 통한 대체운송 수단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취지의 SS 4.2 항목의 평균 득점률이 92%를 획득하여 SS 카테고리 내에서 가장 높은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적용률에서 중(中) 범주에 속하는 항목은 SS 7.2(열섬 효과-지붕) 74%, SS 8(빛 공해 저감) 60%, SS 4.1(대체운송-대중교통 이용) 59%, SS 5.2(사이트 방해 감소-개발 영역) 58%, SS 4.4(대체운송-주차용량) 53%이며, 적용률에서 하(下) 범주에 속하는 항목은 나머지 7개 항목들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SS에서 가장 낮은 득점률을 나타낸 항목은 SS 3(오염지역 재개발) 19%로 분석되었다. 한편, 인증등급 간 격차가 가장 크게 형성된 항목은 SS 5.1(사이트 방해 감소-열린 공간 보호․복원), SS 6.1(우수관리-수량), SS 6.2(우수관리-정화)로 적용률에서 최대 70%이상 큰 차가 확인되어 실제 적용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어려움이 있는 요소로 인지되었다.

수자원 효율화(Water Efficiency, WE)

WE의 세부 항목별 득점현황을 Table 4에 나타내었다. WE는 조경부문 수자원 효율성, 혁신적인 폐수처리 기술, 물 사용량 감소를 도모하기 위한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WE 카테고리의 분석대상 인증건축물의 평균 득점은 5점 만점에 4.05점을 취득하여 81.1%의 비교적 높은 득점률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인증 등급별 득점상황은 Platinum 4.86점(97.2%), Gold 3.97점(79.4%), Silver 3.78점(75.6%), Certified 3.60점(72.0%)을 획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4. Analysis of the score of each item by certification levels (Water Efficiency category, WE)

Credit Contents Points Average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WE 1.1 Water Efficient Landscaping - Reduce by 50% 1 0.92 1.00 0.92 0.91 0.86
WE 1.2 Water Efficient Landscaping - No

제목

Potable Use or No Irrigation
1 0.85 1.00 0.75 0.81 0.83
WE 2 Innovative Wastewater Technologies 1 0.37 0.86 0.32 0.17 0.15
WE 3.1 Water Use Reduction - 20% Reduction 1 0.98 1.00 1.00 0.97 0.96
WE 3.2 Water Use Reduction - 30% Reduction 1 0.93 1.00 0.98 0.91 0.81
Subtotal score 5 4.05 4.86 3.97 3.78 3.60
Adoption rate (%) - 81.1 97.2 79.4 75.6 72.0

세부항목별 분석에서 가장 높은 득점률을 획득한 항목은 WE 3.1(물 사용량 감소-20% 절감)로 98%의 평균 득점률을 나타내어 절수용 기구 적용은 이미 보편화 단계에 이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혁신적인 폐수처리 기술(지하 대수층을 증가시켜 배수나 식수수요 억제, WE 2)은 낮은 적용률(평균 37%)을 나타내었을 뿐 아니라 인증 등급별 적용성에서도 최대 71%의 큰 차이를 나타내어 수처리 기술이 일반화되기에는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에너지와 공기환경(Energy & Atmosphere, EA)

EA의 세부 항목별 득점현황을 Table 5에 나타내었다. EA에는 에너지 성능 최적화, 신재생에너지 적용, 커미셔닝 실시, 오존 보호, 측정 및 검증, 그린 파워에 관련된 항목들로 구성되어 에너지 절약, 에너지비용 감소, 친환경에너지의 개발과 사용을 규정하기 위한 내용으로 설계되었다. 세부항목별 배점은 에너지 최적화(EA 1)에 가장 큰 10점이 배점, 신재생에너지 적용률(EA 2.1~2.3)과 관련하여 3점, 커미셔닝(EA 3), 오존 보호(EA 4), 측정 및 검증(EA 5), 그린 파워(EA 6)에 1점씩 배점되었다.

Table 5. Analysis of the score of each item by certification levels (Energy & Atmosphere category, EA)

Credit Contents Points Average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EA 1 Optimize Energy Performance 10 5.69 9.11 6.19 4.37 3.11
EA 2.1 Renewable Energy - 5% 1 0.17 0.43 0.16 0.05 0.04
EA 2.2 Renewable Energy - 10% 1 0.12 0.39 0.08 0.02 0.01
EA 2.3 Renewable Energy - 20% 1 0.06 0.21 0.04 0.01 0.00
EA 3 Best Practice Commissioning 1 0.63 0.93 0.69 0.56 0.34
EA 4 Ozone Protection 1 0.94 0.96 0.98 0.96 0.86
EA 5 Measurement & Verification 1 0.33 0.82 0.31 0.11 0.07
EA 6 Green Power 1 0.42 0.68 0.42 0.34 0.23
Subtotal score 17 8.37 13.54 8.86 6.42 4.65
Adoption rate (%) - 49.2 79.6 52.1 37.8 27.4

EA 카테고리 내 모든 세부 평가항목들의 득점 평균은 17점 만점에 8.37점으로 49.2%의 득점률을 나타내어 카테고리별 득점률에서는 MR다음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인증등급별 득점률은 79.6~27.4% 구간에 분포하여 카테고리 중 인증등급 간 값 분포가 가장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항목별 분석에서는 신재생에너지(EA 2.1~EA 2.3)는 평균 6~17% 사이의 득점률로 분석되어 EA 세부항목들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냄으로서, 현장 적용에서도 극히 제한적인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오존 보호(EA 4)항의 득점률은 모든 등급에서 86~96% 사이에 분포하여 상(上)의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한편, 득점률에서 인증등급 간에 격차가 크게 형성된 것은 EA 5(측정 및 검증-시간경과에 따른 건물에너지 및 물소비 성능의 최적화 제공, 75%), EA 1(에너지성능 최적화, 60%), EA 3(최고 성능발휘를 위한 커미셔닝, 59%)으로 확인되어 기술적 색채가 짙은 항목의 적용도는 등급 간에 크게 형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료와 자원(Materials & Resources, MR)

MR의 세부 항목별 득점현황을 Table 6에 나타내었다. MR은 건물의 재이용, 건설폐기물 관리, 자원 재이용, 재활용 콘텐츠, 지역재료 사용, 신속 재생 가능한 재료사용, 인증목재, 건물 내구성에 관련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Table 6. Analysis of the score of each item by certification levels (Materials & Resources category, MR)

Credit Contents Measure Points Average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MR 1.1 Building Reuse - Maintain 75% of Existing Walls, Floors, & Roof 1 0.06 0.04 0.05 0.07 0.07
MR 1.2 Building Reuse - Maintain 95% of Existing Walls, Floors, & Roof 1 0.02 0.00 0.02 0.04 0.04
MR 1.3 Building Reuse - Maintain 50% of Interior Non-Structural Elements 1 0.01 0.00 0.01 0.02 0.00
MR 2.1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 Divert 50% from Landfill 1 0.93 1.00 0.97 0.90 0.87
MR 2.2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 Divert 75% from Landfill 1 0.76 0.86 0.85 0.74 0.60
MR 3.1 Resource Reuse - 5% 1 0.02 0.04 0.01 0.01 0.02
MR 3.2 Resource Reuse - 10% 1 0.01 0.04 0.01 0.01 0.01
MR 4.1 Recycled Content - 7.5% (post-consumer + ½ post-industrial) 1 0.98 1.00 0.99 0.97 0.94
MR 4.2 Recycled Content - 15% (post-consumer + ½ post-industrial) 1 0.77 0.79 0.83 0.79 0.67
MR 5.1 Regional Materials - 10% Extracted & Manufactured Regionally 1 0.97 1.00 0.99 0.95 0.94
MR 5.2 Regional Materials - 20% Extracted & Manufactured Regionally 1 0.87 0.96 0.91 0.84 0.78
MR 6 Rapidly Renewable Materials 1 0.01 0.04 0.01 0.01 0.01
MR 7 Certified Wood 1 0.50 0.79 0.51 0.42 0.30
MR 8 Durable Building 1 0.37 0.75 0.39 0.25 0.10
Subtotal score 14 6.29 7.29 6.54 6.01 5.35
Adoption rate (%) - 44.9 52.1 46.7 42.9 38.2

MR 전체 항목들의 득점 평균은 14점 만점에 6.29점을 득점, 44.9%의 득점률을 나타내어 전체 카테고리 중 가장 낮은 득점률을 기록하였다. 인증 등급별 득점상황에서도 Platinum 7.29점(52.1%), Gold 6.54점(46.7%), Silver 6.01점(42.9%), Certified 5.35점(38.2%)을 득점하여 등급별 득점률 범위가 52.1~38.2%로 카테고리들 중 가장 낮고 좁은 범위에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부항목별 적용특성을 살펴보면, 인증등급 평균값 기준으로 득점률 75% 이상인 적용률 상(上)에 해당하는 항목은 MR 4.1(재활용 콘텐츠 7.5%) 98%, MR 5.1(지역재료 사용-지역추출 및 제조 10%) 97%, MR 2.1(건설폐기물 관리-매립에서 50%전환) 93%, MR 5.2(지역재료 사용-지역추출 및 제조 20%) 87%, MR 4.2(재활용 콘텐츠 15%) 77%, MR 2.2(건설폐기물 관리-매립에서 75%전환) 76%가 그 범주에 포함되었다. 75%미만~50%이상인 적용률 중(中)에 해당하는 항목은 MR 7(인증 목재 사용) 50%의 1개 항목뿐이며, 그 나머지 7개 항목은 득점률 50% 미만의 적용률 하(下)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평균 득점률 6% 미만으로 매우 적용률이 낮은 항목으로는 MR 1.1, MR 1.2, MR 1.3, MR 3.1, MR 3.2, MR 6의 6개 세부항목으로 집계되었다. 인증등급별 득점률 차이가 가장 크게 형성된 것은 MR 8(건물 내구성)으로 그 차이는 65%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MR 7(인증 목재 사용)도 인증등급 간 49%의 큰 득점률 차가 확인되었다.

실내환경 품질(Indoor Environmental Quality, EQ)

EQ내 세부 항목별 득점현황을 Table 7에 나타내었다. EQ는 거주자의 건강성, 생산성, 환경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EQ 전체 항목들의 득점 평균은 15점 만점에 9.39점을 득점, 62.6%의 득점률을 나타내었다. 인증 등급별 득점현황은 Platinum 12.61점(84.1%), Gold 9.68점(64.5%), Silver 8.48점(56.5%), Certified 6.78점(45.2%)을 득점하여 Platinum등급만이 상(上)의 적용률을, Gold와 Silver는 중(中)의 적용률, Certified는 하(下)의 적용률을 각각 나타내었다.

Table 7. Analysis of the score of each item by certification levels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category, EQ)

Credit Contents Points Average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EQ 1 Carbon Dioxide (CO2 ) Monitoring 1 0.40 0.71 0.42 0.27 0.20
EQ 2 Ventilation Effectiveness 1 0.33 0.75 0.30 0.16 0.10
EQ 3.1 Construction IAQ Management Plan - During Construction 1 0.91 1.00 0.95 0.93 0.78
EQ 3.2 Construction IAQ Management Plan - Testing Before Occupancy 1 0.67 0.79 0.74 0.66 0.48
EQ 4.1 Low-Emitting Materials - Adhesives & Sealants 1 0.95 1.00 0.94 0.95 0.89
EQ 4.2 Low-Emitting Materials - Paints and Coating 1 0.92 0.96 0.95 0.95 0.81
EQ 4.3 Low-Emitting Materials - Carpet 1 0.93 1.00 0.95 0.93 0.82
EQ 4.4 Low-Emitting Materials - Composite Wood & Laminate Adhesives 1 0.74 0.93 0.76 0.71 0.57
EQ 5 Indoor Chemical & Pollutant Source Control 1 0.70 0.96 0.71 0.64 0.50
EQ 6.1 Controllability of Systems - Perimeter Spaces 1 0.38 0.71 0.39 0.22 0.18
EQ 6.2 Controllability of Systems - Non-Perimeter Spaces 1 0.18 0.46 0.13 0.09 0.05
EQ 7.1 Thermal Comfort - Compliance with ASHRAE 55-2004 1 0.79 0.93 0.85 0.78 0.60
EQ 7.2 Thermal Comfort - Monitoring 1 0.59 0.82 0.65 0.55 0.35
EQ 8.1 Daylight & Views - Daylight 75% of Spaces 1 0.43 0.75 0.45 0.31 0.19
EQ 8.2 Daylight & Views - Views 90% of Spaces 1 0.47 0.82 0.49 0.32 0.26
Subtotal score 15 9.39 12.61 9.68 8.48 6.78
Adoption rate (%) - 62.6 84.1 64.5 56.5 45.2

세부항목별 적용특성을 살펴보면, 보편화되어 건축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항목으로는 EQ 4.1(오염물질 저방출자재-접착재 및 실런트), EQ 4.3(오염물질 저방출자재-카펫), EQ 4.2(오염물질 저방출자재-페인트 및 코팅), EQ 3.1(건설중 IAQ 관리)과 같이 주로 실내공기오염 방지에 관련된 항목들이 차지하였으며, 인증등급 평균값 기준으로 90%이상의 높은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적용에 난점이 있는 항목으로는 EQ 6.2(실내 내주부의 시스템 제어성)로 인증등급 평균값 기준으로 불과 18%의 저조한 적용률을 나타내었고 EQ 2(환기효과), EQ 6.1(실내 외주부의 시스템 제어성) 항목이 30%대의 적용을 나타내어 실내 시스템 제어와 환기효율에 관련된 기술의 적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또한 인증등급 간 득점률 차가 가장 크게 형성된 것은 EQ 2(환기효과, 65%)이며 그 다음으로 채광에 관련된 EQ 8.1(56%)과 EQ 8.2(56%), EQ 6.1(실내 외주부 공간의 시스템 제어성, 53%)의 순서를 나타내었다.

혁신과 디자인(Innovation & Design Process, ID)

ID내 세부 항목별 득점현황을 Table 8에 나타내었다. ID는 설계팀과 프로젝트에 대해서 LEED인증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초과하는 탁월한 성능을 달성했을 때 포인트를 부여하고, LEED 평가시스템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는 그린빌딩 카테고리의 혁신적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Table 8. Analysis of the score of each item by certification levels (Innovation & Design Process category, ID)

Credit Contents Points Average 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ID 1.1 Innovation in Design 1 0.98 1.00 0.99 0.98 0.94
ID 1.2 Innovation in Design 1 0.94 1.00 0.99 0.93 0.84
ID 1.3 Innovation in Design 1 0.82 1.00 0.92 0.79 0.56
ID 1.4 Innovation in Design 1 0.64 1.00 0.72 0.55 0.29
ID 2 LEED® Accredited Professional 1 1.00 1.00 1.00 1.00 0.99
Subtotal score 5 4.38 5.00 4.62 4.25 3.63
Adoption rate (%) - 87.5 100.0 92.4 85.0 72.6

ID의 득점 평균은 5점 만점에 4.38점으로 87.5%의 높은 득점률을 나타내었으며, Silver 등급 이상에서 85% 이상의 높은 득점률을 나타내었다. LEED AP 자격보유자가 많이 배출됨으로서 ID 2(LEED AP 전문가) 항목은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점수를 얻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 론

(1)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LEED Canada 인증건축물을 대상으로 카테고리별, 세부항목별 득점현황과 적용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다수의 실제 인증건축물의 데이터에 근거한 1차 분석결과는 데이터 값 그 자체에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 수 있어 설계기술 향상과 국내 녹색건축 인증기준 재개정의 방향을 검토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적용률에서 인증등급 간 70%이상의 큰 격차를 보인 항목은 사이트 방해 감소(SS 5.1), 우수관리(SS 6.1, SS 6.2), 혁신적 폐수처리기술(WE 2) , 시간경과에 따른 건물에너지 및 물 소비성능 최적화 제공을 위한 측정 및 검증(EA 5) 관련 항목으로 파악되어 이와 같이 비교적 기술적 색채가 강한 요소의 경우 낮은 인증등급 건물에의 적용에는 어려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3) LEED Canada 인증건축물에 대한 카테고리별 득점현황 및 적용률 분석에서는 EA (Energy & Atmosphere) 카테고리가 인증등급 간 득점과 적용률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여, 현실적인 적용 관점에서는 어려움이 있는 카테고리임이 확인되었다. 반면, ID (Innovation & Design Process)와 WE (Water Efficiency)는 득점률 72% 이상으로 비교적 적용이 용이한 카테고리로 분석되었다.

(4) 각 세부항목의 득점 특성을 살펴보면, SS 1(대지선정)은 91%의 높은 득점률을, 대체운송 수단(SS 4.2) 항목의 평균 득점률이 92%를 획득하여 SS 카테고리 내에서 가장 높은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SS 7.2(열섬 효과-지붕) 74%, SS 8(빛 공해 저감) 60%, SS 4.1(대체운송-대중교통 이용) 59%, SS 5.2(사이트 방해 감소-개발 영역) 58%, SS 4.4(대체운송-주차용량) 53%는 적용률에서 중(中)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WE 카테고리의 평균 득점은 5점 만점에 4.05점을 취득하여 81.1%의 높은 득점률을 나타내었으며, WE 3.1(물 사용량 감소-20% 절감)은 98%의 평균 득점률을 나타낸 반면, WE 2(혁신적인 폐수처리 기술)는 낮은 적용률(평균 37%)을 나타내었고 인증 등급별 적용성에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6) EA 카테고리의 득점 평균은 17점 만점에 8.37점으로 49.2%의 득점률을 나타내었고 인증등급별 득점률은 79.6~27.4%로 카테고리 중 인증등급 간 값 분포가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부항목별 분석에서는 신재생에너지(EA 2.1~EA 2.3)는 평균 6~17%의 낮은 득점률을 나타내어 현장 적용도 극히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7) MR 카테고리에서는 MR 4.1(재활용 콘텐츠 7.5%), MR 5.1(지역재료 사용-지역추출 및 제조 10%), MR 2.1(건설폐기물 관리-매립에서 50%전환), MR 5.2(지역재료 사용-지역추출 및 제조 20%), MR 4.2(재활용 콘텐츠 15%), MR 2.2(건설폐기물 관리-매립에서 75%전환)가 득점률 75%이상의 상(上)의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8) EQ의 득점 평균은 15점 만점에 9.39점으로 62.6%의 득점률을 나타내었다. 인증 등급별 득점상황은 Platinum등급만이 상(上)의 적용률을, Gold와 Silver는 중(中)의 적용률, Certified는 하(下)의 적용률을 각각 나타내었다. 세부항목별 적용특성에서는 주로 실내공기오염 방지에 관련된 항목들의 적용률이 90%이상으로 매우 높은 적용률을 나타내었다.

(9) ID의 득점 평균은 5점 만점에 4.38점으로 87.5%의 높은 득점률을 나타내었으며, Silver 등급 이상에서 85% 이상의 높은 득점률을 나타내었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17년도 대구가톨릭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References

1
김동희, 조동우, 유기형. (2010).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용도별 인증결과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6(1), 323-330.
2
모혜란, 문미선, 한찬훈, 태춘섭. (2012). 업무용 친환경건축물의 득점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32(5), 108-117.
3
안동준. (2016). LEED for EB 인증사례 분석을 통한 친환경적 건물운영 및 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10(1), 37-46.
4
이성옥, 배철학, 조동우, 박아름, 목선수, 이상호.. (2013).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인증 평가항목별 득점현황 및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9(12), 305-316.
5
이성옥, 조동우, 박철용, 이상호. (2013).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와 국내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등급 인증을 위한 평가점수 산출방법 비교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9(11). 283-290.
6
최동호, 김가희. (2013). LEED 인증건축물의 평가항목별 득점현황 비교 분석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7(4), 295-304.
7
최동호, 김춘동. (2011). LEED Canada 친환경건축물 인증사례 조사를 통한 평가항목별 적용도 분석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5(2), 94-104.
8
황선영, 태춘섭, 신우철. (2016). 업무용 건축물의 녹색건축 인증등급별 평가항목 득점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36(5), 9-18.
9
한국환경건축연구원. (2016). 녹색건축 인증건축물의 실태파악을 통한 실효적 적용기술 및 인증 후 관리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10
2016 Annual Report. (2016). Canada Green Building Council, 19.
11
https://www.gbc.re.kr/index.do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