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17 Vol.11, Issue 6 Preview Page
December 2017. pp. 599-610
Abstract
References
1
김양희. (2006). 조경수목 하자현황 및 개선방안: 서울시 아파트 식재공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
김우식. (2014). 아파트 조경변화에 따른 조경수목하자 경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3
김판기. (2001). 광도가 내음성이 서로 다른 3수종의 광합성 생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한국임학회, 90(4), 479-487.
4
박재훈. (2007). 아파트조경의 식재계획 및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5
서영훈, 김동필, 문호경. (2016). 소공원 조경설계를 위한 BIM 템플릿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44(1), 40-50.
6
손석규, 제선미, 우수영, 변광옥, 강영제, 강병서. (2006). 다른 광도에서 생육한 먼나무, 붓순나무의 생리적 차이. 한국농림기상학회지, 8(2), 61-67.
7
신재윤, 정성관. (2014).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수 식재유형별 가로경관 평가: 대구 광역시 동대구로 은행나무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1), 89-103.
8
심지수, 송두삼. (2017). 천공상태에 따른 직산분리 일사량 예측 모델의 국내 적합성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대한설비공학회, 763-766.
9
오주석, 김세용. (2014). 공동주택단지 내 도시 농업 도입 및 계획방안 연구: 계획지표 도출 및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5(5), 47-66.
10
오휘영. (1989). 공동주택 단지 옥외공간 및 녹지시설 이용 실태분석을 통한 설계개선.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4), 63-73.
11
이경준. (2011). 수목생리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2
이동운. (2011). 건축조경설계 자동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3(3), 235-241.
13
이란희, 이규남, 강임철. (2007). 실감형 콘텐츠 제작을 위한 3D 자연환경 저작 소프트웨어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9), 108-116.
14
이솔지. (2016). 창의적 조경설계를 지원하는 Geodesign Interface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15
이영진. (2012). 조경 계획 및 설계를 지원하는 전산모델에 관한 연구, 석하학위논문. 경원대학교.
16
전병기, 이승은, 김의종. (2017). 수평면 전일사를 이용한 창 투과 일사량 계산 방법, 설비공학회논문집, 29(4). 159-166.
17
정남영, 주재성, 김민성, 송영환. (2016). 일조분석 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 단지 내 식재적합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6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67-68.
18
조화숙. (2007). 공동주택단지 조경의 이용 후 평가: 진주시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진주산업대학.
19
최재연. (2017).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참여형 조경설계방법론.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20
한봉호, 조훈검, 곽정인, 박석철. (2014). 도시공원 조경수목 식재평가 및 평가등급 적용방안: 인천광역시 송도 해돋이공원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8(4), 457-471.
21
LH공사. (2014). 조경공사 설계지침.
22
SH공사. (2010). 조경설계기준.
23
Shamseldim, A.K.M. (2016). Considering Coxistence with Nature in the Environmental Assement of Buildings. Housing and Building National Research Center: HBRC Journal, September, 1-12.
24
Peeters, A. (2016). A GIS-based Method for Modeling Urban-Climate Parameters Using Automated Recognition of Shadows Cast by Building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Elsevier, 59, 107-115.
25
Liu, B.Y.H., Jordan, R.C. (1960). The interrelationship and 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Direct, Diffuse and Total Solar Radiation, Solar Energy: Elsevier, 4, 1-19
26
Hong, B. (2015). Predicting the Growth in Tree Height for Building Sunshine in Residential District. Open Journal of Forestry: Scientific Research Publishing, 5(1), 57-65.
27
Christopher, T. (2006).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Modeling of Crop Growth, Brown Walker Press.
28
Son, J.-Y., Lane, K.J., Lee, J.-T., Bell, M.L. (2016). Urban Vegetation and Heat-Related Mortality in Seoul, Korea. Environmental Research: Elsevier, 151, 728-733.
29
Goudriaan, K.(2016). Piety in Practice and Print: Essays on the Late Medieval Religious Landscape.
Information
  • Publisher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 Publisher(K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 Journal Tit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 Journal Title(K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 Volume : 11
  • No :6
  • Pages :599-610
  • Received Date : 2017-11-14
  • Revised Date : 2017-12-29
  • Accepted Date : 2017-12-26
Journal Informait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 NRF
  • KOFST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crosscheck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