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30 October 2022. 385-399
https://doi.org/10.22696/jkiaebs.20220033

ABSTRACT


MAIN

  • 서 론

  •   연구의 목적

  •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분석방법

  •   사례분석

  •   단열재 비용 추가요소

  •   기초 및 토공사

  •   수장공사

  • 분석결과

  • 결 론

서 론

연구의 목적

2021년 9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 제정되고 2022년 3월 시행되면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40% 감축으로 상향 조정되었다(PD No. 32913, 2022). 이번 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은 주요국 대비 도전적인 것으로, 이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전환, 산업,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등 부문별 감축량을 산정하였으며, 목표 달성을 위해 추가적인 감축 수단 발굴 및 관련 연구 수행 등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건물 부문은 ’30년까지 35백만톤 감축(’18년 대비 32.8% 감축)을 목표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제로에너지 건축과 노후 건축물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는 그린리모델링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탄소중립위원회 NDC 검토반(민간위원)은 건물부문 감축 방안으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신축건축물의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산을 위한 인센티브 제공,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에도 5대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서 발급, 공공 임대주택 등 취약 계층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지원 대상 확대 등을 추가 제언하였다(CNC, 2021).

이처럼 건물부문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다양한 방안이 제기되고 있지만, 소규모 주택에 대한 감축 노력은 여전히 미흡하고 주요 관심에서 벗어나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전체 건축물에서 단독주택이 약 48%의 높은 비중을 차지(MOLIT, 2021)하고 있는 만큼 소규모 주택의 에너지 성능 개선을 통한 적극적인 온실가스 감축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Kwon et al., 2021)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의 추가공사비 분석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이다.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패시브주택의 저에너지 추가 6요소(단열, 기밀, 창호, 열교, 외부 전동차양, 열회수환기장치)(PHIKO, 2020) 중 단열에 대한 공사비를 공종과 부위별로 상세 분석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90건의 패시브주택에 20건의 사례를 추가하여 총 110건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단열은 건축물의 난방 및 냉방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기본적인 시공 사항이고, 부실시공 시 결로와 곰팡이 발생 등 빈번한 건물 하자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 구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성능 편차가 클 수 있는 설비적 저에너지 요소와 달리 평균적인 성능을 가정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부동산 시장에서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의 보급이 활성화되려면 건축비 증가분 이상의 가치가 인정되어 거래되고, 수요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단열 요소의 가치 반영을 위해서는 열적 쾌적성, 환경 영향 등 다양한 요소의 편익을 분석해야 하지만, 무엇보다 저에너지 주택의 단열 공사비 수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는 감정평가 과정에서 저에너지 요소에 대한 보정금액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 사례를 분석하여 원가 측면의 비용성에 초점을 맞춰 기초 및 수장공사에서의 단열재 공사비를 도출하였고, 선행연구에 이어 경제적 가치평가 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로 그 의의를 갖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 및 절차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사례를 분석하여 대표 유형을 설정하고, 대표 유형의 사용부위별 단열재 구성을 결정하였으며, 일반주택과 비교하여 저에너지 주택의 단열재 추가공사비를 산정하였다.

①대상 선정: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사단법인 한국패시브건축협회에서 패시브건축물 인증을 받은 총 110건의 단독주택을 분석하였다. 비교대상 일반건축물은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 정하는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를 준수하는 범위(중부2지역)에서 최소의 단열재 구성으로 모델링 하였으며, 저에너지 건축물은 연간난방에너지요구량 50 kWh/m2a를 만족한다. 열관류율(W/m2·K)은 건식 지붕 0.138, 벽 0.164, 바닥 0.178, 습식 지붕 0.141, 벽 0.158, 바닥 0.116 수준이다. 일반건축물은 벽체 외단열, 지붕 내단열로 하였고, 저에너지 건축물은 벽체와 지붕 모두 외단열로 하였다.

②대상 유형화: 사례를 건식과 습식으로 나누어 연면적 및 층수를 유형화 하였다. 철근콘크리트조는 습식구조로 분류하였고, 중목구조, 경량목구조, SIP (Structural Insulate Pannels, 구조용 단열패널) 구조, 철골구조는 건식구조로 분류하였다. 연면적은 최소 60.88 m2, 최대 408.58 m2이며, 구분은 20 m2를 기본단위로 하여 ‘60 m2 이상 80 m2 미만’부터 ‘280 m2 이상 300 m2 미만’까지 12개로 나누었다. 층수는 1층과 2층 2개로 구분하였다.

③사용부위별 단열재 구성 결정: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의 단열부위를 정하고 단열재 구성방법, 규격 등의 수치를 일반화시킨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단열 공사비 구성은 기초공사와 수장공사의 공종별로 나누었고, 수장공사는 지붕, 벽체, 바닥으로 사용부위를 구분하였다.

④추가공사비 산정: 재료비와 시공비를 합산하여 추가공사비를 산정하였고, 일반건축물 대비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의 단열재 공사비에 대한 증가율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

사례분석

총 110개 패시브주택 사례의 연면적은 최소 60.88 m2, 1사분위 99.06 m2, 2사분위 143.10 m2, 3사분위 189.17 m2, 최대 이상 값을 제외한 최대 값 298.86 m2, 중앙값 156.05 m2의 분포를 보이고, 평형 단위(18평, 24평, 30평 외)를 기반으로 20 m2 단위로 구분하였다. Figure 1에 습식과 건식 구조로 나누어 사례의 연면적 분포를 나타내었다. 건식은 총 77건이며, 연면적은 최소 60.88 m2, 1사분위 97.54 m2, 2사분위 131.94 m2, 3사분위 153.86 m2, 최대 이상 값을 제외한 최대 값 231.05 m2, 중앙 값 132.44 m2의 분포를 보인다. 습식은 총 33건이며, 연면적은 최소 83.1 m2, 1사분위 149.68 m2, 2사분위 195.91 m2, 3사분위 259.33 m2, 최대 이상 값을 제외한 최대 값 408.58 m2, 중앙값 211.16 m2의 분포를 보인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1.jpg
Figure 1.

Distribution of total floor area in low energy small-scale house cases

Table 1은 습식과 건식 구조에서 연면적과 규모별 사례 개수를 나타낸다. 건식의 경우 최소 60.88 m2부터 최대 290.73 m2의 연면적에서 ‘지상 1층’과 ‘지상 2층’이 나타났고, ‘지상 3층’이나 ‘지하 1층, 지상 2층’의 사례는 없었다. 습식의 경우 최소 83.10 m2부터 최대 408.58 m2의 연면적에서 ‘지상 1층’과 ‘지상 2층’, ‘지상 3층’, ‘지하 1층, 지상 2층’ 이 모두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300 m2 이상의 경우 고급 주택으로 판단하여 제외하였으며, ‘지상 3층’, ‘지하1층, 지상 2층’의 사례는 개수가 적어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Table 1.

Number of cases by total floor area and scale (m2, Q’ty)

Type Dry Const. Wet Const.
1F 2F 3F B1&2F 1F 2F 3F B1&2F
60~80 3 0 0 0 0 0 0 0
80~100 27 2 0 0 3 1 0 0
100~120 1 2 0 0 2 0 0 0
120~140 5 7 0 0 1 0 0 0
140~160 0 16 0 0 0 4 0 0
160~180 0 4 0 0 1 2 0 0
180~200 0 5 0 0 0 4 0 0
200~220 0 0 0 0 0 2 0 1
220~240 0 3 0 0 0 1 0 0
240~260 0 1 0 0 0 2 1 0
260~280 0 0 0 0 0 0 0 1
280~300 0 1 0 0 0 1 0 1
300~ 0 0 0 0 0 0 3 2
Sum. 77 33

단열재 비용 추가요소

기초 및 토공사의 단열재 부분은 습식과 건식 동일하게 적용된다. 바닥 단열재의 경우 바닥 난방의 열을 지중으로 빼앗기지 않도록 하는 단열재를 말하며, 일반 건축물의 경우 두껍게 시공하지 않고 일부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기초 수직/수평 단열재는 동결심도를 피해 기초 하부면이 동해를 입거나 지반 침하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기 위함이며 일반 건축물에는 없고, 저에너지 소규모 건축물에 추가되는 항목이다.

수장공사에서의 단열재 부분은 습식과 건식 동일하게 추가되는 단열층의 단열재에 대한 재료비, 시공비, 경비를 합산하여 산정하였다. 이 때, 일반건축물의 경우 시공의 편의성을 위하여 벽체 외단열(일체타설), 지붕 내단열(천장붙이기)을 선호하였고 저에너지 건축물의 경우 완전 외단열(접착제붙이기)을 지향하므로 시공비 또한 실제 시공방식에 맞는 물가정보단가를 적용하였다. 단열재 부착을 위한 접착제의 재료비는 고려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저에너지 건축물의 열관류율을 만족하기 위한 단열재 증가분을 증액 요소로 반영하였다.

기초 및 토공사

기초 및 토공사의 단열재 공사비를 산출하기 위해 110건의 기초데이터 중 연면적과 규모에 따라서 바닥면적을 추출하고 둘레의 평균값을 표기했다. 이어서 면적과 둘레에 따른 재료비와 시공비를 합산하여 단열재 공사비를 산출하였다.

Table 2와 같이 규모에 따른 바닥면적, 둘레를 산출하여 단열재 필요 개수를 산정하였다.

Table 2.

Floor area and perimeter by total floor area and scale (m2, m)

Total floor area Scale Floor area Perimeter
60~80 1F 72.93 35.72
2F - 27.86
80~100 1F 98.14 40.21
2F 79.23 30.10
100~120 1F 133.37 44.70
2F 82.44 32.35
120~140 1F 117.86 49.19
2F 94.65 34.59
140~160 1F - -
2F 96.10 36.84
160~180 1F 185.33 58.17
2F 109.96 39.08
180~200 1F - 62.66
2F 103.41 41.33
200~220 1F - 67.15
2F 119.17 43.58
220~240 1F - 71.64
2F 113.27 45.82
240~260 1F - 76.13
2F 99.86 48.07
260~280 1F - 80.62
2F - 50.31
280~300 1F - 85.11
2F 154.50 52.56

일반 건축물과 저에너지 건축물의 기초 및 토공사 단열재 사용 부위는 Figure 2(바닥 단열재) 및 Figure 3(수직/수평 단열재)과 같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2.jpg
Figure 2.

Area of application of floor insulation

일반 건축물은 바닥 단열재(비드법(EPS) 1종4호 100 mm)를 적용하였고, 저에너지 건축물은 바닥 단열재(압출법(XPS) 특호 100 mm 2겹)를 적용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3.jpg
Figure 3.

Area of applic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insulation

일반 건축물은 수직/수평 단열재 적용이 없으며, 저에너지 건축물은 건축물 둘레를 따라 수직 단열재(압출법(XPS) 1호 80 mm), 수평 단열재(압출법(XPS) 1호 100 mm)를 적용하였다. 기초 및 토공사 재료비와 시공비는 종합물가정보를 사용하였다(KPRC, 2022). 재료비는 Table 3, 시공비는 Table 4와 같으며, 저에너지 건축물 바닥 단열재는 2겹 시공이다.

Table 3.

Insulation material cost for the foundation part (mm, KRW)

Type Standard Price Reference
EPS Type 1 No.4 900×1800×100 10,749 Floor (general)
Special 900×1800×100 26,025 Floor (low energy)
XPS No.1 900×1800×80 19,623 Vertical (low energy)
No.1 900×1800×100 24,528 Horizontal (low energy)
Table 4.

Insulation construction cost for the foundation part

Type Unit Labor cost Reference
Laying on the slab (floor) 50~100T m2 2,620 Horizontal (low energy),
Floor (low energy, general)
Gluing (wall) 50~100T m2 13,883 Vertical (low energy)

‘기초 및 토공사’ 단열 공사비 산정 식은 다음과 같다.

(1)
Cost=(NumberofInsulation×1.05×MaterialCost)+(FloorArea×ConstructionCost)

수장공사

수장공사의 단열재 공사비를 산출하기 위해 110건의 기초데이터 중 연면적과 규모에 따라서 바닥면적, 벽체면적, 지붕면적 평균값을 추출했다. 건식구조 지붕면적은 30° 경사의 박공지붕으로 계산하였으며 습식공사 지붕면적은 단순 평지붕으로 산정하였다. 재료비와 시공비를 합산하여 단열재 공사비를 산출하였다.

건식구조의 규모에 따른 바닥면적, 벽체면적, 지붕면적은 Table 5와 같다.

Table 5.

Floor area, wall area, roof area according to total floor area and scale (Dry const.)

Total floor area (m2) Scale Floor area (m2) Wall area (m2) Roof area (m2)
60~80 1F 72.93 144.87 84.21
2F - - -
80~100 1F 98.14 156.5 113.33
2F 79.23 214.34 91.48
100~120 1F 133.37 215.92 154
2F 82.44 254.62 95.19
120~140 1F 117.86 177.74 136.09
2F 94.65 244.83 109.3
140~160 1F - - -
2F 96.1 257.85 110.97
160~180 1F 185.33 180.56 214
2F 109.96 296.48 126.97
180~200 1F - - -
2F 103.41 269.48 119.41
200~220 1F - - -
2F 119.17 307.56 137.6
220~240 1F - - -
2F 113.27 360.39 130.8
240~260 1F - - -
2F 113.78 349.06 131.39
260~280 1F - - -
2F 154.5 372.66 178.4
280~300 1F - - -
2F - - -

건식구조 수장공사의 단열재 적용 부위는 Figure 4와 같으며, 일반건축물은 단열재 추가 적용이 없고, 저에너지 건축물은 지붕 단열재(글라스울 32K 100 mm, 1겹)와 벽체 단열재(글라스울 32K 50 mm, 2겹)를 추가 적용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4.jpg
Figure 4.

Insulation application area of roof and wall (Dry const.)

건식구조 수장공사의 단열재 재료비는 Table 6, 시공비는 Table 7과 같고, 종합물가정보(KPRC, 2022)를 사용하였다. 단열 공사비 산정 식은 식 (2)와 같다.

Table 6.

Insulation material cost for the interior finishing part (Dry const.)(KRW)

Part Standard (mm) Unit Price Reference
Glass wool 24 K 150 m2 1,098 Wall (general)
24 K 250 m2 18,300 Roof (general)
32 K 50 m2 5,361 Wall (low energy)
32 K 100 Q’ty 10,072 Roof (low energy)
EPS Type 1 No. 2 50 Q’ty 8,307 Floor (low energy)
Type 1 No. 4 50 Q’ty 5,376 Floor (general)
Table 7.

Insulation construction cost for the interior finishing part (Dry const.)(KRW)

Type (mm) Unit Labor cost Reference
Griding (wall) 100~200 m2 8,504 Wall (general)
Griding (roof) 200~300 m2 8,870 Roof (general)
Griding (wall) Less than 50 m2 7,119 Wall (low energy)
Griding (roof) 50~100 m2 8,573 Roof (low energy)
Laying on the slab (foor) Less than 50 m2 2,254 Floor (low energy & general)
(2)
Cost=(Area×1.05×MaterialCost)+(Area×ConstructionCost)

습식구조의 규모에 따른 바닥면적, 벽체면적, 지붕면적은 Table 8과 같다.

Table 8.

Floor area, wall area, roof area according to total floor area and scale (Wet const.)

Total floor area (m2) Scale Floor area (m2) Wall area (m2) Roof area (m2)
60~80 1F 72.93 144.87 72.93
80~100 1F 98.14 156.5 98.14
2F 79.23 214.34 79.23
100~120 1F 133.37 215.92 133.37
2F 82.44 254.62 82.44
120~140 1F 117.86 177.74 117.86
2F 94.65 244.83 94.65
140~160 2F 96.1 257.85 96.1
160~180 1F 185.33 180.56 185.33
2F 109.96 296.48 109.96
180~200 1F - - -
2F 103.41 269.48 103.41
200~220 1F - - -
2F 119.17 307.56 119.17
220~240 1F - - -
2F 113.27 360.39 113.27
240~260 1F - - -
2F 113.78 349.06 113.78
260~280 1F - - -
2F - - -
280~300 2F 154.5 372.66 154.5

일반건축물은 수장공사에서 지붕단열재(비드법 2종 1호 200 mm), 벽체 단열재(비드법 2종 1호 125 mm), 바닥 단열재(비드법 1종 4호 50 mm)를 적용하였으며, 저에너지 건축물은 지붕단열재(압출법 특호 100 mm 2겹), 벽체 단열재(비드법 2종 3호 200 mm), 바닥단열재(비드법 1종 2호 50 mm)를 적용하였다. 단열재 구성은 Figure 5와 같다.

습식구조 수장공사의 단열재 재료비는 Table 9, 시공비는 Table 10과 같고, 종합물가정보(KPRC, 2022)를 사용하였다. 저에너지 건축물 지붕 단열재는 2겹 시공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5.jpg
Figure 5.

Insulation material composition for each part of interior finishing construction (general & Low energy)

Table 9.

Insulation material cost for interior finishing part (Wet const.)(mm, KRW)

Type Standard Price Reference
EPS Type 1 No. 2 900×1800×50 8,307 Floor (low energy)
Type 1 No. 4 900×1800×50 5,376 Floor (general)
Type 2 No. 1 900×1800×125 30,000 Wall (general)
900×1800×200 48,000 Roof (general)
Type 2 No. 3 900×1800×200 34,000 Wall (low energy)
XPS Special 900×1800×100 26,025 Roof (low energy)
Table 10.

Insulation construction cost for interior finishing part (Wet const.)(KRW)

Type Unit Labor cost Reference
Laying on the slab (floor) Less than 50T m2 2,254 Floor (general, low energy)
50~100T m2 2,620 Roof (low energy)
Gluing (wall) 100~150T m2 14,684 Wall (low energy)
Gluing (ceiling) 100~150T m2 17,660 Roof (general)
Pouring concrete 100~150T m2 8,870 Wall (general)

습식구조 수장공사의 단열 공사비 산정 식은 다음과 같다.

(3)
Cost=(Area×1.05×MaterialCost)+(Area×ConstructionCost)

분석결과

기초 및 토공사 단열 공사비 계산 값은 Figure 6과 같이 로그함수로 회귀분석하여 추세 보정하였다. Table 11을 보면 산출한 기초 및 토공사 단열 공사비가 1층 60~80 m2에서 3,502,614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10,788,807원으로 최대, 2층 60~80 m2에서 3,006,813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6,219,350원으로 최대 값을 보인다. 일반대비 저에너지 소규모 건축물의 ‘기초 및 토공사’ 단열재 공사비의 평균 증가율은 390.2%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6.jpg
Figure 6.

Change in the construction cost of insulation for foundation part (Low energy)

Table 11.

Insulation construction cost for the foundation part (KRW, %)

Total floor area (m2) Scale General Low energy Rate of increase
Floor
(correction)
Floor Vertical Horizontal Sum.
(correction)
60~80 1F 676,611 2,880,536 572,229 199,766 3,502,614 417.67%
2F 609,476 -  - - 3,006,813 393.34%
80~100 1F 958,233 3,845,473 648,879 227,823 4,790,882 399.97%
2F 723,691 3,121,752 486,228 170,827 3,574,820 393.97%
100~120 1F 1,183,104 5,227,209 725,530 255,880 5,819,544 391.89%
2F 814,889 3,242,686 524,553 197,119 4,028,364 394.34%
120~140 1F 1,370,304 4,625,428 802,180 283,937 6,675,883 387.18%
2F 890,810 3,723,086 562,878 198,884 4,405,931 394.60%
140~160 1F 1,530,662 - - - 7,409,435 384.07%
2F 955,845 3,782,736 601,203 225,176 4,729,359 394.78%
160~180 1F 1,670,919 7,269,179 935,858 340,051 8,051,036 381.83%
2F 1,012,728 4,323,799 639,528 226,941 5,012,246 394.93%
180~200 1F 1,795,558 - - - 8,621,192 380.14%
2F 1,063,277 4,081,280 677,853 253,233 5,263,632 395.04%
200~220 1F 1,907,711 - - - 9,134,232 378.81%
2F 1,108,761 4,684,325 696,556 254,998 5,489,835 395.13%
220~240 1F 2,009,654 - - - 9,600,564 377.72%
2F 1,150,105 4,445,252 734,881 256,762 5,695,445 395.21%
240~260 1F 2,103,091 - - - 10,027,988 376.82%
2F 1,188,000 3,906,516 773,206 283,055 5,883,899 395.28%
260~280 1F 2,189,333 - - - 10,422,500 376.06%
2F 1,222,976 - - - 6,057,842 395.34%
280~300 1F 2,269,410 - - - 10,788,807 375.40%
2F 1,255,452 6,066,604 849,856 311,112 6,219,350 395.39%

건식구조 수장공사 단열 공사비 계산 값은 Figure 7과 같이 로그함수로 회귀분석하여 추세 보정하였다. Table 12를 보면 산출한 건식구조 수장공사 단열 공사비가 1층 60~80 m2에서 14,567,717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28,960,535원으로 최대, 2층 60~80 m2에서 15,104,541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32,130,759원으로 최대 값을 보인다. 일반대비 저에너지 소규모 건축물의 건식구조 수장공사 단열재 공사비의 평균 증가율은 157.9%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7.jpg
Figure 7.

Change in the construction cost of insulation for interior finishing part (Low energy, Dry const.)

Table 12.

Insulation construction cost for the interior finishing part (Dry const.)(KRW, %)

Total floor area (m2) Scale General Low energy Rate of increase
Sum.
(correction)
Roof Wall Floor Sum. (correction)
60~80 1F 5,794,299 3,977,470 9,498,008 563,120 14,567,717 151.41%
2F 3,330,811 - - - 15,104,541 353.48%
80~100 1F 7,133,901 5,352,827 10,260,361 752,873 17,112,503 139.88%
2F 5,092,154 4,321,122 14,052,654 610,550 18,114,937 255.74%
100~120 1F 8,203,551 7,274,091 14,155,859 1,023,337 19,144,476 133.37%
2F 6,498,559 4,496,334 16,693,426 634,405 20,518,692 215.74%
120~140 1F 9,094,013 6,428,074 11,653,121 905,303 20,836,050 129.12%
2F 7,669,362 5,162,480 16,051,522 728,392 22,519,767 193.63%
140~160 1F 9,856,795 - - - 22,285,076 126.09%
2F 8,672,287 5,241,589 16,905,157 739,969 24,233,916 179.44%
160~180 1F 10,523,962 10,108,025 11,837,843 1,422,898 23,552,466 123.80%
2F 9,549,496 5,997,385 19,437,989 845,968 25,733,195 169.47%
180~200 1F 11,116,837 - - - 24,678,726 121.99%
2F 10,329,023 5,640,173 17,667,633 797,977 27,065,523 162.03%
200~220 1F 11,650,319 - - - 25,692,162 120.53%
2F 11,030,460 6,499,341 20,163,822 916,555 28,264,384 156.24%
220~240 1F 12,135,234 26,613,334 119.31%
2F 11,668,038 6,178,005 23,628,047 870,047 29,354,099 151.58%
240~260 1F 12,579,689 - - - 27,457,648 118.27%
2F 12,252,420 6,205,821 22,884,790 871,196 30,352,894 147.73%
260~280 1F 12,989,921 - - - 28,236,948 117.38%
2F 12,791,803 - - - 31,274,780 144.49%
280~300 1F 13,370,824 - - - 28,960,535 116.59%
2F 13,292,625 8,426,263 24,432,298 1,187,253 32,130,759 141.72%

습식구조 수장공사 단열 공사비 계산 값은 Figure 8과 같이 로그함수로 회귀분석하여 추세 보정하였다. Table 13을 보면 산출한 습식구조 수장공사 단열 공사비가 1층 60~80 m2에서 9,017,099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19,095,155원으로 최대, 2층 60~80 m2에서 9,225,964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19,632,628원으로 최대 값을 보인다. 일반대비 저에너지 소규모 건축물의 습식구조 수장공사 단열재 공사비의 평균 증가율은 17.3%이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2-016-05/N0280160505/images/Figure_KIAEBS_16_5_05_F8.jpg
Figure 8.

Change in the construction cost of insulation for interior finishing part (Low energy, Wet const.)

Table 13.

Insulation construction cost for the interior finishing part (Wet const.)(KRW, %)

Total floor area (m2) Scale General Low energy Rate of increase
Sum.
(correction)
Roof Wall floor Sum.
(Correction)
60~80 1F 8,256,134 2,880,536 5,323,291 563,120 9,017,099 9.22%
2F 6,641,782 - - - 9,225,964 38.91%
80~100 1F 10,175,566 3,845,473 5,766,037 752,873 10,798,995 6.13%
2F 8,150,442 3,121,752 7,873,405 610,550 11,065,961 35.77%
100~120 1F 11,708,202 5,227,209 7,930,520 1,023,337 12,221,811 4.39%
2F 9,355,084 3,242,686 9,382,865 634,405 12,535,170 33.99%
120~140 1F 12,984,090 4,625,428 6,553,976 905,303 13,406,275 3.25%
2F 10,357,923 3,723,086 9,001,096 728,392 13,758,255 32.83%
140~160 1F 14,077,032 - - - 14,420,904 2.44%
2F 11,216,969 3,782,736 9,498,287 739,969 14,805,966 32.00%
160~180 1F 15,032,975 7,269,179 6,663,349 1,422,898 15,308,348 1.83%
2F 11,968,333 4,323,799 10,915,571 845,968 15,722,347 31.37%
180~200 1F 15,882,468 - - - 16,096,972 1.35%
2F 12,636,029 4,081,280 9,907,060 797,977 16,536,685 30.87%
200~220 1F 16,646,863 - - - 16,806,594 0.96%
2F 13,236,838 4,684,325 11,316,138 916,555 17,269,445 30.47%
220~240 1F 17,341,666 4,445,252 13,248,028 870,047 17,451,611 0.63%
2F 13,782,949 - - - 17,935,494 30.13%
240~260 1F 17,978,499 - - - 18,042,812 0.36%
2F 14,283,495 4,447,925 12,843,559 871,196 18,545,972 29.84%
260~280 1F 18,566,294 - - - 18,588,489 0.12%
2F 14,745,498 - - - 19,109,442 29.60%
280~300 1F 19,112,067 - - - 19,095,155 -0.09%
2F 15,174,472 6,066,604 13,700,158 1,187,253 19,632,628 29.38%
Table 14.

Insulation cost of low energy small-scale houses (Dry & Wet const.)(KRW, %)

Total floor area (m2) Scale Dry const. Rate of increase Wet const. Rate of increase
General Low energy General Low energy
60~80 1F 6,470,910 18,070,331 179.3% 8,932,745 12,519,713 40.2%
2F 3,940,287 18,111,354 359.6% 7,251,258 12,232,777 68.7%
80~100 1F 8,092,134 21,903,385 170.7% 11,133,799 15,589,877 40.0%
2F 5,815,845 21,689,757 272.9% 8,874,133 14,640,781 65.0%
100~120 1F 9,386,655 24,964,020 166.0% 12,891,306 18,041,355 39.9%
2F 7,313,448 24,547,056 235.6% 10,169,973 16,563,534 62.9%
120~140 1F 10,464,317 27,511,933 162.9% 14,354,394 20,082,158 39.9%
2F 8,560,172 26,925,698 214.5% 11,248,733 18,164,186 61.5%
140~160 1F 11,387,457 29,694,511 160.8% 15,607,694 21,830,339 39.9%
2F 9,628,132 28,963,275 200.8% 12,172,814 19,535,325 60.5%
160~180 1F 12,194,881 31,603,502 159.2% 16,703,894 23,359,384 39.8%
2F 10,562,224 30,745,441 191.1% 12,981,061 20,734,593 59.7%
180~200 1F 12,912,395 33,299,918 157.9% 17,678,026 24,718,164 39.8%
2F 11,392,300 32,329,155 183.8% 13,699,306 21,800,317 59.1%
200~220 1F 13,558,030 34,826,394 156.9% 18,554,574 25,940,826 39.8%
2F 12,139,221 33,754,219 178.1% 14,345,599 22,759,280 58.6%
220~240 1F 14,144,888 36,213,898 156.0% 19,351,320 27,052,175 39.8%
2F 12,818,143 35,049,544 173.4% 14,933,054 23,630,939 58.2%
240~260 1F 14,682,780 37,485,636 155.3% 20,081,590 28,070,800 39.8%
2F 13,440,420 36,236,793 169.6% 15,471,495 24,429,871 57.9%
260~280 1F 15,179,254 38,659,448 154.7% 20,755,627 29,010,989 39.8%
2F 14,014,779 37,332,622 166.4% 15,968,474 25,167,284 57.6%
280~300 1F 15,640,234 39,749,342 154.1% 21,381,477 29,883,962 39.8%
2F 14,548,077 38,350,109 163.6% 16,429,924 25,851,978 57.3%

건식과 습식구조의 기초 및 토공사, 수장공사의 단열재 공사비를 합산한 결과는 Table 14와 같다.

결 론

110건의 패시브인증 주택 사례분석 결과 건식구조 단열 공사비가 1층 60~80 m2에서 18,070,331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20,551,392원으로 최대, 2층 60~80 m2에서 9,220,991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39,749,342원으로 최대 값을 보인다. 일반대비 저에너지 소규모 건축물의 건식구조 단열재 공사비의 평균 증가율은 185.1%이다. 습식구조 단열 공사비는 1층 60~80 m2에서 12,519,713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29,883,962원으로 최대, 2층 60~80 m2에서 12,232,777원으로 최소, 280~300 m2에서 25,851,978원으로 최대 값을 보인다. 일반대비 저에너지 소규모 건축물의 습식구조 단열재 공사비의 평균 증가율은 50.2%이다. 부동산 시장에서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의 보급이 활성화되려면 건축비 증가분 이상의 가치가 인정되어 거래 되어야 하며, 본 연구를 통해 저에너지 주택 유형별 단열재 시공비 증가분에 대한 평균적인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적인 일반 건축물을 상정하여 도출한 단열재 공사비와 저에너지 소규모 주택의 단열재 공사비를 유형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 값은 경제적 가치 중 시공 원가의 비용성 측면에서, 감정평가 추가 보정금액에 대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의 결과는 패시브인증 주택 110건의 사례를 바탕으로 하였기에 대표성을 갖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사례 건물의 변경에 따라 결과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수집 정보의 부족으로 내단열, 외단열의 시공법 차이에 따른 시공비용 분석과 단열 두께 증가에 따른 시공비용(시공법 변경, 추가 앵커, 접착제 등 부자재 비용)이 고려되지 않은 점도 한계 요소이다.

앞으로 패시브인증 주택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더 많은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지면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일반화된 결과의 제시가 가능할 것이며, 일반주택 대비 저에너지 주택의 에너지 절감률은 어느 정도인지, 거래 시장에서 공사비 증가분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등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2년도 국토교통부의 재원으로 도시건축연구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임(과제번호 : 22AUDP-B151639-04).

References

1
Kwon, O.I., Park, J.I., Lee, D.S., Jung, H.R., Ji, C.Y., Choi, M.S. (2021). An Analysis of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for Low Energy Small-Scale Houses. Journal of KIAEBS, 15(6), 671-684.
2
Carbon Neutral Committee (CNC) (Related Ministries Joint). (2021). Revised 2030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NDC).
3
Korea Price Research Center (KPRC). (2022). Available at: http://www.kprc.or.kr.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21). Statistics on Buildings. Available at: https://stat.moilt.go.kr.
5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PHIKO). (2020). 2-00. The Passive House-definition and requirement. Available at: http://www.phiko.kr.
6
Presidential Decree No. 32913. (2022).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oping with Climate Crisis. Article 3 Paragraph 1. Available at: https://www.law.go.kr.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