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30 December 2021. 723-734
https://doi.org/10.22696/jkiaebs.20210061

ABSTRACT


MAIN

  • 서 론

  • 실험개요

  •   실험대상

  •   실험방법

  • 실험결과 및 토의

  •   천장 구조에 따른 수음 세대 잔향시간

  •   음장 및 천장 조건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   잔향시간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관계 고찰 및 한계점

  • 결 론

서 론

공동주택에서 쾌적하고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콘크리트 구조체, 완충재, 바닥마감재, 천장 구조 등 세대 바닥을 구성하는 각 구성층에서 다양한 바닥충격음 저감 공법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특히 천장 구조는 바닥마감재와 함께 시공 및 수선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공종으로 리모델링이나 세대 인테리어 공사 등에서도 적용 가능한 바닥충격음 저감 공법이 제안되고 있다.

천장 구조를 이용하여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는 공법에는 바닥 슬래브와 연결된 달대를 제거한 무달대 천장 공법(벽체지지형 천장)이 있다. 충격에 의한 바닥 진동이 슬래브와 연결된 천장 달대를 통해 전달되는 음교(Sound bridge) 현상을 차단하는 원리로 Park and Mun (2014)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250 Hz 대역 이상에서 저감 효과가 확인된 바 있다. 또한 Gi et al. (2001), Kim et al. (2017; 2018)의 연구에서 천장 내부에 다공성 흡음재(글라스울, 폴리에스테르 등)를 충진하여 차음구조를 형성, 125 Hz 이상 대역에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이 향상된 연구결과도 다수 발표되었으며, 스파이럴 트랩형 흡음재, 마이크로 타공형 흡음재, 멤브레인형 흡음재 등의 저주파 흡음 장치를 이용한 Kim (2020)의 실험 연구에서도 125 Hz 대역의 차음성능이 효과적으로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연구결과에서 천장 설치 이후 63 Hz 대역의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거나 증폭되는 현상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서술하고 있으며 아래에 해당 연구결과를 정리하였다.

Park and Mun (2014)은 공동주택 무달대 천장의 바닥충격음 차단 특성 연구에서 달대가 있는 일반 천장 구조는 천장 설치 전과 비교하여 1/3 옥타브밴드 63 Hz에서 뱅머신 기준 7 dB 증폭, 고무공 기준 10 dB 증폭된다고 밝히고 있다.

Song and Ryu (2018)의 흡음 석고보드 천장에 의한 저주파 중량 바닥충격음의 저감 효과 연구에서 천장 설치 시 천장 설치 전과 비교하여 63 Hz 대역의 중량충격음 증폭 현상이 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해당 연구에서 흡음 석고보드 및 다공성 흡음재 설치에 의해 중량충격음 저감효과가 나타났는데 수음실 음장 변화에 의한 영향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Kim et al. (2014)의 바닥충격음 저감이 가능한 천장 공법 개발 연구에서 일반 천장 설치 시 천장 설치 전과 비교하여 1/1 옥타브밴드 63 Hz에서 뱅머신 기준 6 dB 증폭, 고무공 기준 5.4 dB 증폭 현상이 나타남을 밝혔으며, 천장 내부에 흡음재 추가 설치 시 일반 천장 대비 63 Hz에서 뱅머신 기준 1.4 dB 저감, 고무공 기준 2.3 dB가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해당 연구에서 흡음재 추가 설치에 따른 중량충격음 차단성능 향상에 대한 부분이 천장 내부공간 및 천장구조의 차음성능 향상에 기인한 것인지 수음실 음장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바닥충격음 주파수 평가 대역 중 63 Hz에서의 변화에 대한 주요한 원인 중 하나를 수음실 음장 변화로 가정, 수음실 잔향시간의 변화와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에 대한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닥충격음 실험실 및 공동주택 거실에서 천장 설치 조건에 따른 수음세대의 음장을 잔향시간을 통해 확인하고 잔향시간 변화에 따른 흡음력 증감과 이로 인한 감음량(Noise Reduction)을 산출하였다. 또한 천장 조건에 따른 중량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 도출된 흡음력과 바닥충격음 저감량에 대해 주파수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산출된 예상 감음량과 실제 바닥충격음 저감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개요

실험대상

Table 1에 실험대상 세대의 전용 면적, 거실 체적, 가진실 기준 층수, 뜬바닥구조의 구성을 나타냈다. Figure 1, 2, 3는 각 실험 대상의 평면도와 천장 설치 부위(음영), 가진점 및 수음점을 나타낸 것이다. A는 2층 규모의 바닥충격음 실증 실험시설이며 B는 전용면적 41 m2의 공동주택, C는 전용면적 59 m2의 공동주택이다.

Table 1.

Specifications of experimental rooms and configuration of floating floor

Type Area of
exclusive use space, m2
Volume of
living room,
m3
Floor Configuration of floating floor, mm
A-1 25 69.2 2nd EPS 40 + Mortar 70
A-2 25 69.2 2nd EPP 40 + Mortar 70
B-1 41 26.8 5th EPS 30 + Lightweight concrete 40 + Mortar 40
B-2 41 26.8 5th EPS 30 + Lightweight concrete 40 + Mortar 40
C-1 59 37.7/37.9* 19th EPS 30 + Lightweight concrete 40 + Mortar 40
C-2 59 37.7/37.9* 18th EPS 30 + Lightweight concrete 40 + Mortar 40

*suspended ceiling = 37.7 m3, wall supported ceiling = 37.9 m3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1.jpg
Figure 1.

Floor plan of A, ceiling installation area (inside the dotted line) and excitation point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2.jpg
Figure 2.

Floor plan of B, ceiling installation area (inside the dotted line) and excitation point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3.jpg
Figure 3.

Floor plan of C, ceiling installation area (inside the dotted line) and excitation point

A-1과 A-2는 동일한 실이며 바닥구조만 다르게 적용하였다. B-1과 B-2는 동일한 층과 동일한 바닥구조이며 바로 옆에 인접 배치된 실이다. C-1과 C-2는 동일한 바닥구조이며 같은 라인에 상하층으로 배치된 실이다.

Figure 4는 B에 경량철골 천장을 설치한 모습과 벽체지지형 천장을 설치한 모습을 보여준다. 벽체지지형 천장 상부에는 두께 50 mm, 밀도 40 kg/m3 폴리에스터 흡음재가 설치되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4.jpg
Figure 4.

Ceiling structure installed in B - Comparison of before (left) and after (right) installation of sound absorbing materials (Polyester, 50 mm, 40 kg/m3)

실험방법

실험대상 세대에 경량철골 천장과 흡음재가 포함된 벽체지지형 천장을 각각 적용하고 천장 설치 조건에 따른 수음 세대 잔향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잔향시간 변화에 따른 수음 세대 흡음력을 산출한 뒤 부가 흡음력에 의한 감음량(Noise Reduction) 산출식(Chung et al., 2012)을 활용, 음장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감음량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1)
NR=10log(A2A1),dB

여기서, A1은 흡음 대책 전의 실내흡음력, A2는 흡음 대책 후의 실내흡음력이다.

수음 세대 잔향시간 측정 후 천장 구조에 따른 각 실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측정하고, 흡음재가 포함된 벽체지지형 천장시스템 설치 시 경량철골 천장 대비 실제 저감량과 식 (1)에 의한 감음량을 비교하였다.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은 KS F 2810-2, KS F 2863-2에 의거, 표준중량충격원(뱅머신, 고무공)을 이용하여 1/1옥타브밴드 바닥충격음레벨(L’i,Fmax)을 측정 및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및 토의

천장 구조에 따른 수음 세대 잔향시간

Figure 5는 각 실험 대상의 수음 세대에서 측정한 천장구조에 따른 잔향시간이다. 잔향시간은 수음 세대 임의의 1개 지점에서 충격성 음원을 이용, 3회 측정한 잔향시간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5.jpg
Figure 5.

Difference in reverberation time due to installation of sound absorbing material inside the ceiling (63 Hz to 500 Hz)

A-1, A-2는 정방형의 실험시설로 경량철골 천장 설치 조건에서 룸모드의 영향으로 63 Hz, 125 Hz 대역의 잔향시간이 6 ~ 8 s로 측정되었다. 천장 내부에 흡음재를 포함한 벽체지지형 천장 조건에서 해당 저주파수 대역의 잔향시간은 1.6 ~ 1.9 s로 감소하였다. 천장 마감은 타공하지 않은 일반 석고보드 마감으로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잔향시간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B-1, B-2, C-1, C-2는 0.8 ~ 1.2 s의 잔향시간 분포를 보였으며 천장 구조에 따른 잔향시간은 천장설치 높이가 동일한 B에서는 약 0.1 ~ 0.2 s의 감소 효과를 보였다. C의 경우 벽체지지형 천장이 경량철골에 비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거실 체적이 0.2 m3 증가되었으며 이로 인해 약 0.1 s 이내의 잔향시간 증가 효과가 나타났다.

음장 및 천장 조건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Table 2는 천장 설치 조건에 따른 수음실의 흡음력을 주파수별로 나타낸 그래프이며, Table 3는 실험대상 실에서 천장 구조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측정 결과를 1/1 옥타브밴드로 나타냈다. 맨 우측 열의 ΔL은 일반 경량철골 천장(S) 대비 벽체지지형 천장(W) 설치 시 단일수치평가량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며 음(-)의 부호는 저감, 양(+)의 부호는 증폭됨을 의미한다.

Table 2.

Sound absorption of sound receiving room according to ceiling structure

Type Ceiling* Sound absorption [m2]
63 Hz 125 Hz 250 Hz 500 Hz
A-1 S 1.4 1.8 3.4 4.1
W 5.6 6.2 5.8 5.4
A-2 S 1.5 1.7 3.6 4.1
W 6.8 6.4 4.1 3.8
B-1 S 5.5 4.7 3.5 3.9
W 6.3 5.3 4.0 5.0
B-2 S 3.7 3.7 5.2 5.2
W 4.7 4.8 4.1 5.0
C-1 S 7.0 7.5 6.2 5.3
W 6.2 7.6 5.6 5.2
C-2 S 8.4 7.7 6.5 6.2
W 9.1 7.1 6.0 5.4

* S = Suspended ceiling without absorbing material, W = Wall supported ceiling with absorbing material

Table 3.

Measurement result of heavy weight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ceiling structure

Type Source Ceiling* L’i,Fmax [dB] L’i,Fmax,Aw
[dB]
ΔL
[dB]
63 Hz 125 Hz 250 Hz 500 Hz
A-1 Bang
machine
S 81.9 62.8 45.1 38.7 51 -4
W 77.1 59.9 41.6 36.6 47
ΔL -4.8 -2.9 -3.5 -2.1
A-2 S 82.7 61.4 47.9 42.6 52 -6
W 76.8 58.5 42.7 37.0 46
ΔL -5.9 -2.9 -5.2 -5.6
B-1 S 84.0 61.7 44.8 36.4 54 -1
W 83.1 58.1 42.8 36.7 53
ΔL -0.9 -3.6 -2.0 0.3
B-2 S 81.2 65.0 46.8 38.0 52 +2
W 84.2 62.8 41.2 34.5 54
ΔL 3.0 -2.2 -5.6 -3.5
C-1 S 71.6 62.3 43.4 36.4 45 0
W 72.8 60.5 41.5 33.5 45
ΔL 1.2 -1.8 -1.9 -2.9
C-2 S 74.2 64.1 46.0 39.1 48 -2
W 73.8 61.4 43.3 35.9 46
ΔL -0.4 -2.7 -2.7 -3.2
A-1 Rubber
ball
S 71.2 63.0 48.5 31.7 46 -3
W 68.0 60.3 47.6 30.9 43
ΔL -3.2 -2.7 -0.9 -0.8
A-2 S 73.0 60.7 47.0 32.9 45 -3
W 67.9 58.1 47.1 29.6 42
ΔL -5.1 -2.6 0.1 -3.3
B-1 S 74.8 61.6 47.4 38.4 47 -3
W 73.5 57.4 46.9 37.6 44
ΔL -1.3 -4.2 -0.5 -0.8
B-2 S 73.9 64.2 48.1 36.7 48 -1
W 74.3 61.7 45.4 35.9 47
ΔL 0.4 -2.5 -2.7 -0.8
C-1 S 68.5 64.6 51.0 37.9 45 0
W 69.6 64.0 49.3 38.2 45
ΔL 1.1 -0.6 -1.7 0.3
C-2 S 70.7 66.7 53.9 41.1 48 -2
W 70.3 65.3 51.1 38.9 46
ΔL -0.4 -1.4 -2.8 -2.2

* S = Suspended ceiling without absorbing material, W = Wall supported ceiling with absorbing material

흡음재가 포함된 벽체지지형 천장 설치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은 저주파대역 잔향시간이 약 6 ~ 8 s에서 2 s로 감소된 A-1, A-2에서 뱅머신 기준 4 dB, 6 dB, 고무공 기준 각 3 dB가 저감되었다. 잔향시간이 약 1 s 내외로 나타났던 B, C에서는 뱅머신 기준 2 dB ~ -2 dB, 고무공 기준 0 dB ~ 3 dB가 저감되었다. 뱅머신 단일수치평가 시 상대적으로 잔향시간 변화가 크게 나타난 공간에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에 대한 변화도 크게 나타났다.

주파수 대역별 잔향시간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Figure 6, 7에 주파수별 천장구조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량(-ΔL)과 수음실 흡음력 증가량(ΔA)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6.jpg
Figure 6.

Correlation of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ound absorption when excitation of a bang machine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7.jpg
Figure 7.

Correlation of floor impact sound reduc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sound absorption when excitation of a rubber ball

Table 4는 두 변수에 대한 단순 선형 회귀분석(신뢰 수준 95%)을 통해 도출된 상관계수(이하 R)와 결정계수(이하 R2), p-value를 나타낸 표이며, Figure 6Figure 7은 각각 뱅머신과 고무공 가진 시 수음실 흡음력 증가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량과 결정계수를 각 평가 주파수 대역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Table 4.

Results of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ound absorption and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Frequency Bang machine Rubber ball
R R2 p-value R R2 p-value
63 Hz 0.8882 0.7889 0.0181 0.9608 0.9230 0.0023
125 Hz 0.2633 0.0693 0.6142 0.3161 0.0999 0.5417
250 Hz 0.0677 0.0046 0.8986 0.6263 0.3922 0.1834
500 Hz 0.7021 0.4929 0.1199 0.3965 0.1572 0.4365

뱅머신 가진 시 63 Hz에서 R은 0.8882, R2는 0.7899로 나타났으며 p-value가 0.0181 (<0.05)로 나타나 두 변수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25 Hz ~ 500 Hz의 R은 0.0677 ~ 0.7021, p-value가 0.1199 ~ 0.8986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의수준 0.05보다 크게 나타나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수음실 흡음력과 바닥충격음 저감량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무공 가진 시 63 Hz에서 R은 0.9608, R2는 0.9230으로 나타났으며 p-value가 0.0023 (<0.05)으로 나타나 역시 두 변수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25 Hz ~ 500 Hz의 R은 0.3161 ~ 0.6263, p-value가 0.1834 ~ 0.5417로 유의수준인 0.05보다 크게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을 찾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수음실 흡음력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63 Hz 대역에 대해 Figure 8에서 부가 흡음력에 의한 감음량 식 (1)에 의한 예측 저감량과 실제 바닥충격음 저감량을 비교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21-015-06/N0280150613/images/Figure_KIAEBS_15_6_13_F8.jpg
Figure 8.

Comparison of estimated noise reduction according to increasing sound absorption and measurement of noise reduction at 63 Hz according to ceiling structure

뱅머신 가진 시 B-2를 제외한 5개 수음실에서 부가 흡음력에 의한 감음량 예측 결과와 실제 바닥충격음 저감량 측정 결과의 차이는 0.1 dB ~ 1.2 dB로 나타났으며 저감 또는 증폭에 대한 경향성이 유사하게 나타나 수음실 음장 변화에 따라 63 Hz 대역의 증감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고무공 가진 시 B-2를 제외한 수음실에서 63 Hz 대역 예측 결과와 측정 결과의 차이는 0.1 dB ~ 2.7 dB로 나타났으며 뱅머신 가진 시와 마찬가지로 저감 또는 증폭에 대한 경향성이 예측 결과와 측정 결과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만, B-2의 경우 63 Hz 대역에서 벽체지지형 천장이 예상 감음량과 달리 차음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량철골 천장과 벽체지지형 천장 시험체의 시공 시기 차이가 1~2일인 타 실험 세대와 달리, B-2는 벽체지지형 천장 시공 및 철거 약 14일 이후 경량철골 천장이 시공되었으며 이로 인해 몰탈 강도 차이 등의 기타 변인이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잔향시간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관계 고찰 및 한계점

주요 실험결과로 A-1, A-2 실험구조를 통해 잔향시간이 2 s 이상으로 긴 공간에서 개구율이 0%에 가까운 석고보드 마감의 배후 다공성 흡음재가 잔향시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가 실내 음장조건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것인지, 확인하지 못한 틈새 또는 마감자재의 투과에 의한 것인지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63 Hz 대역에서 흡음력 증가에 의한 감음량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과의 경향성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바닥충격음 저감대책 수립 시 수음실의 흡음력 증가를 통해 63 Hz 대역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향상을 기대하거나, 중량충격음의 바닥충격음 평가 시 잔향시간 또는 흡음력 보정을 통해 천장구조를 포함한 바닥구조의 일관성 있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달대가 없는 벽체지지형 천장 구조 배후에 다공성 흡음재를 설치하여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향상을 극대화하는 개발 공법 실용화 과제의 일환으로, 달대가 있는 일반 경량철골 천장 설치 조건과 비교 평가를 진행하며 도출된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천장 달대에 의한 저주파 대역 증폭 현상에 대해 변수를 분리하여 평가할 수 없는 점은 한계로 남는다.

향후 수음세대 음장 조건과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도출되는 결과는 수음세대에 적용 가능한 바닥충격음 저감기술 개발 및 바닥충격음 평가와 해석에 관한 기초자료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벽체지지형 천장 내부에 흡음재 설치를 통한 수음실 잔향시간 및 흡음력 변화와 이로 인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단순히 천장구조 변화나 흡음재 설치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비교하였다. 이는 125 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나타나는 천장구조 변화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개선효과는 비교적 명확히 파악할 수 있었으나, 63 Hz 대역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변화에 대한 원인을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총 6개의 실험 세대에서 천장구조 및 흡음재 설치에 따른 잔향시간을 측정, 이에 따른 예상 감음량을 식 (1)에 따라 산출하고 실제 바닥충격음 저감량과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1)경량철골 천장 설치 조건에서 룸모드의 영향으로 63 Hz, 125 Hz 대역의 잔향시간이 6 ~ 8 s로 측정된 A-1, A-2 실험 세대에서 천장 내부에 흡음재를 포함한 벽체지지형 천장으로 변경 시, 해당 주파수 대역의 잔향시간은 1.6 ~ 1.9 s로 감소하였다. 천장 마감은 타공하지 않은 일반 석고보드 마감으로 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잔향시간 감소 현상이 나타났다. 잔향시간 분포가 0.8 ~ 1.2 s로 측정된 B-1, B-2, C-1, C-2 실험 세대에서는 천장구조 및 흡음재 설치 조건에 따른 수음 세대 잔향시간 차이가 약 0.1 ~ 0.2 s 내외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흡음재가 포함된 벽체지지형 천장 설치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은 저주파대역 잔향시간이 약 6 ~ 8 s에서 2 s로 감소된 A-1, A-2에서 뱅머신 기준 4 dB, 6 dB, 고무공 기준 각 3 dB가 저감되었다. 잔향시간이 약 1 s 내외로 나타났던 B, C에서는 뱅머신 기준 2 dB ~ -2 dB, 고무공 기준 0 dB ~ 3 dB가 저감되었다. 뱅머신 단일수치평가 시 상대적으로 잔향시간 변화가 크게 나타난 공간에서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에 대한 변화도 크게 나타났다.

(3)수음실 흡음력 증가에 따른 바닥충격음 저감량을 주파수 별로 분석하였으며, 뱅머신 기준 63 Hz에서 두 변수의 결정계수 R2는 0.7889, p-value는 0.0181 (<0.05)로 통계적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바닥충격음 저감대책 수립 시 수음실의 흡음력 증가를 통해 63 Hz 대역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향상을 기대하거나, 중량충격음의 바닥충격음 평가 시 잔향시간 또는 흡음력 보정을 통해 천장구조를 포함한 바닥구조의 일관성 있는 바닥충격음 차단성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4)뱅머신 가진 시 B-2를 제외한 5개 수음실에서 부가 흡음력에 의한 감음량 예측 결과와 실제 바닥충격음 저감량 측정 결과의 차이는 0.1 dB ~ 1.2 dB로 나타났으며 저감 또는 증폭에 대한 경향성이 유사하게 나타나 수음실 음장 변화에 따라 63 Hz 대역의 증감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1CTAP-C152256-03).

References

1
Kim, I.H. (2020). Technology of Low-frequency Sound Absorber in Ceiling for Reduction of Floor Impact Sound.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64(2), 21-25.
2
Song, H.S., Ryu, J.K. (2018). Effects of sound absorbent gypsum board in the ceiling on low-frequency heavyweight floor impact sound.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37(5), 323-330.
3
Gi, N.G., Chung, H.W., Song, M.J., Jang, G.S., Kim, S.W. (2001, April). A Study on the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sound due to the ceiling frame structures in apartments.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nnual Spring Conferenc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1), 505-508.
4
Kim, I.H., Kim, Y.H., Song. G.G., Ryu, J.K. (2018, October). Floor impact sound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with types and layouts of sound absorbing materials inside ceiling.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Autumn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300.
5
Kim, I.H., Mun, D.H., Ryu, J.K., Han, K.H., Lee, H.M. (2017, October). Floor Impact Sound with Ceiling Absorbing Materials in Decrepit Apartment Buildings.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Autumn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220.
6
Kim, K.H., Kim. S.H., Ryu, J.K., Lee, J.I., Kim, Y.M., (2014, October). Development of ceiling construction methods reduced floor impact sound.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Autumn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203-207.
7
Park, H.G., Mun, D.H. (2014, October). Characteristics of Floor Impact Noise Insulation for No Hanger Ceiling Structure in Apartment Building. Proceedings of the KSNVE Annual Autumn Conferenc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KSNVE). 208-213.
8
Chung, I.R., Kim, J.Y., Yoon, S.C., Lee, T.H. (2012). Noise and Vibration Theory and Practice. Sin-Gwang Mun-Hwa-Sa. 108-109.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