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30 December 2018. 543-556
https://doi.org/10.22696/jkiaebs.20180045

ABSTRACT


MAIN

  • 서 론

  •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

  •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

  •   건축자재 및 설비 제품 성능 시험 방법

  • 기술 패키지 성능 기준 구분

  •   패시브 기술 패키지의 자재 및 모듈성능 항목

  •   액티브 기술 패키지의 설비 제품 성능 항목

  • 기술 패키지 성능 측정 방안 및 성능기준

  •   패시브 기술 패키지의 성능 측정 방안 및 성능 기준

  •   액티브 기술 패키지의 성능 측정 방안 및 성능 기준

  • 결 론

서 론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가 정부차원에서의 ‘8대 에너지신산업 육성정책’을 공표하고 이중 ‘제로에너지빌딩’을 통해 건축물에서 소비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을 구현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과 수요에도 불구하고 제로에너지 빌딩의 구축에는 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제로에너지 빌딩의 구축 시 기존 건축물에 비해 고효율/고성능의 건축자재 및 설비의 도입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가장 큰 장애요소이다. 또한 제로에너지빌딩은 설계 단계에서 에너지 소비량을 예측하여 이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로 필요한 에너지를 보급하는 계획을 세우지만 실제 건축물이 완공된 이후 설계자의 의도대로 제로에너지빌딩이 구성되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수요자(또는 건축주)의 결정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제로에너지 빌딩을 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제로에너지빌딩을 달성하기 위한 자재와 설비를 패시브(Passive)기술 요소와 액티브(Active)기술 요소로 분류하여 설계 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 패키지 분류를 제안하였고 이를 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항목 분류 및 기술패키지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기술 패키지를 구성하는 자재 및 설비제품은 각각의 에너지 성능에 대한 검증과 에너지 성능 이외에도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나 안정성 등의 신뢰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자재와 자재간의 결합, 또는 자재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모듈의 결합 등에 의한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이 필요하다. 기존의 에너지 성능 예측 툴(또는 시뮬레이션)에서도 성능 치의 입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능 측정방법이 제각각이루어지고 있고 에너지 성능 이외의 정보는 확인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기술 패키지 구성을 위한 각 건축자재 및 설비 제품의 성능 측정 방법을 확인하여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선정하고 다양한 기존의 규정 및 법규 등을 참고하여 제로에너지빌딩에 필요한 성능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

제로에너지 빌딩 구현을 위해 건축자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모듈을 구성하고 이를 목적에 적합하도록 구성하는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가 개발되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는 Figure 1과 같이 ‘자재-모듈-패키지’로 구성되고 고성능/고효율의 성능을 가지는 건축 자재 및 설비 자재의 DB화를 기반으로 기술 및 자재간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듈을 구성하는 것으로 기술 및 건축자재의 에너지 절감 성능은 물론 건축물에 적용하기 적합한 내구/신뢰성 정보들을 관리에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모듈화에 의해 제로에너지 건축물의 보급에 용이하다. 최종적으로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는 실제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해 모듈간의 조합을 통해 구성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iaebs/2018-012-06/N0280120602/images/Figure_KIAEBS_12_6_02_F1.jpg
Figure 1.

Example of technical package composition in building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각 건축 자재 및 설비 제품의 성능이 명확하게 파악되어야 하며, 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방법이 동일하게 제안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성능은 건축 자재 및 설비 제품 간의 성능 효과를 비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재 간의 결합 또는 모듈간의 결합에 의한 성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성능의 기준 및 항목이 에너지 소비량 예측방법에서 활용이 용이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이때, 에너지 소비량 예측 방법 중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에너지 해석 시뮬레이션 툴에 적용되는 항목들은 제로에너지빌딩의 목적에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바탕으로 실제 수요자(건축주 및 설계자)가 선택하기 쉬운 신뢰성 정보를 포함하는 인벤토리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이어 제로에너지빌딩 기술 패키지를 구성하는 건축 자재 및 설비 제품의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건축자재 및 설비 제품 성능 시험 방법

제로에너지빌딩 인벤토리 구성을 위한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패키지의 건축 자재 및 설비 제품의 성능은 다양한 자재와 설비 제품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임의로 선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시험 성능 측정 방법과 국가 고시 등을 기준으로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국내에서 다양한 건축 자재 및 설비의 성능 시험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는 한국산업표준(Korea Industrial Standard, KS)은 산업표준화법에 의거하여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기술표준원장 및 소관부처의 장이 고시함으로써 확정되는 국가표준으로서 약칭하여 KS로 표시한다. WTO/TBT 협정과 APEC/SCSC에서의 권고에 따라 국제표준과 대응되는 표준의 경우 부합화하여 운영한다. 한국산업표준은 제품의 형상·치수·품질 등을 규정한 제품표준, 시험·분석·검사 및 측정방법, 작업표준 등을 규정한 방법표준, 용어·기술·단위·수열 등을 규정한 전달 표준으로 구성된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관리하는 ‘효율관리제도’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기기의 효율향상과 고효율제품의 보급확대를 위하여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제도’, ‘대기전력저감프로그램’의 3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이를 통해 다양한 건축자재 및 설비 제품에 대해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준과 더불어 국제규격(ISO), 해외규격(ASTM), 건축 관련 기준인 패시브하우스 기준(PHI)을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 필요한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선정하였다.

기술 패키지 성능 기준 구분

패시브 기술 패키지의 자재 및 모듈성능 항목

제로에너지빌딩 구성을 위한 패시브 기술 패키지는 벽체(Wall), 창 세트(Window), 문 세트(Door), 일사조절장치(Solar Control Device)로 구분된 모듈로 구성되며, 각각의 모듈을 구성하는 건축 자재는 단열재/구조체/외장재/내장재 등으로 구분하는 벽체 자재, 유리부(Glazing)와 창틀자재, 문짝 내부 심재 및 외부 마감재 및 악세서리, 슬랫 /루버 및 구동 모터 등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러한 자재의 성능은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단열 및 기밀 성능과 같은 에너지 해석에 필요한 에너지 성능과 자재의 내구성, 내후성과 관련된 기타 성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벽체 모듈을 구성하는 자재의 성능 항목은 단열재와 관련하여 에너지 성능인 열전도율과 기타 성능인 불연·준불연 성능, 흡수율로 구성하고 내·외장재는 자재의 형태 및 구조체에 시공되는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에너지 성능을 열관류율, 열전도율, 열 저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성능은 각 자재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부착강도, 길이 변화율, 불연·준불연·난연 성능, 흡수 시 내박리성, 함수율, 염수분무시험, 내충격성으로 구성하였다. 창 세트 모듈은 유리부의 에너지 성능인 열관류율과 일사획득계수(SHGC)와 함께 내화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차염 성능으로 구성하고 창틀은 열관류율을 통해 에너지 성능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문 세트 모듈을 구성하는 심재의 열전도율을 에너지 성능으로 구성하였다. 일사조절장치 모듈은 슬랫/루버/블라인드의 에너지 성능인 일사획득계수와 함께 외부/내부에 설치되는 자재를 기준으로 구분하여, 외부에 설치되는 자재의 풍속저항, 염수분무,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 촉진 내후성으로 구성하고 내부에는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 촉진 내후성은 동일하고 추가적으로 부하하중, 머리 끼임, 고정 장치 내구도, 엉킴 방지, 누적 확인 성능으로 구성하였다. 구동 모터는 반복 작동 성능으로 구성하였다. Table 1은 각 재료별 성능 항목과 성능 구분을 나타낸다.

Table 1. Performance contents of Material

Category Material type Name of Performance Type of Performance*
Wall-Material Insulation Thermal conductivity E.P
Fireproof O.P
Water absorption O.P
Interior/ Exterior Thermal conductivity E.P
U-value E.P
Thermal resistance E.P
Bond strength O.P
Length change O.P
Fireproof O.P
Peel resistance O.P
Water absorption O.P
Salt spray resistance O.P
Impact resistance O.P
Window-Glazing Glazing U-value E.P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E.P
Flame interruption performance (LIP) O.P
Window-Frame Frame U-value E.P
Door-Material Insulation Thermal conductivity E.P
Solar Control Device-Material Slat/Louver/blind (Exterior)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E.P
Wind pressure O.P
Salt spray resistance O.P
Tensile strength O.P
Yield strength O.P
Elongation O.P
Accelerated weathering O.P
Slat/Louver/blind (Interior)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E.P
Tensile strength O.P
Yield strength O.P
Elongation O.P
Accelerated weathering O.P
Weight load O.P
Head stuck O.P
Durability O.P
Prevention of tangling O.P
Accumulation device O.P
Solar Control Device-Motor Motor Repetitive operation O.P

E.P : Energy Performance, O.P : Other Performance

*

각 모듈의 성능 기준은 구성 자재를 바탕으로 모듈의 성능 시험 방법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벽체 모듈은 단열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열관류율과 열교 성능 확인을 위한 선형 열관류율을 표기하도록 구성하였다. 창 세트 모듈은 에너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열관류율과 통기량 및 일사획득계수 성능으로 구성하고 기타 성능은 결로 방지 성능, 내풍압 성능, 수밀 성능, 변색/탈색, 손잡이대 강도, 개폐력, 개폐반복성, 방음성능으로 구성하였다. 문 세트 모듈 또한 에너지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열관류율과 통기량으로 구성된 에너지 성능과 결로 방지성능, 내풍압 성능, 수밀 성능, 내화성, 차연성, 안정성, 개폐력, 변색/탈색, 방음성능으로 구성된 기타 성능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사조절장치 모듈은 앞선 슬랫/루버 및 구동모터의 성능을 동일하게 적용하여 일사획득계수를 에너지 성능으로 구성하고 내후성, 내구성, 반복 작동성, 안정성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Table 2는 모듈의 성능 항목과 성능 구분을 나타낸다.

Table 2. Performance contents of Module

Category Name of Performance Type of Performance*
Wall-Module U-value E.P
Linear U-value E.P
Window Set-Module U-value E.P
Air flow rate E.P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E.P
Condensation prevention (TDR) O.P
Wind pressure O.P
Watertightness O.P
Discoloration/Bleach prevention (DBP) O.P
Handle strength O.P
Opening and closing forces (OCF) O.P
Repetitiv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ROOC) O.P
Sound insulation (R) O.P
Door Set-Module U-value E.P
Air flow rate E.P
Condensation prevention (TDR) O.P
Wind pressure O.P
Watertightness O.P
Fireproof O.P
Smoke penetration prevention (SPP) O.P
Stability O.P
Opening and closing forces (OCF) O.P
Discoloration/Bleach prevention (DBP) O.P
Sound insulation (R) O.P
Solar Control Device-Module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E.P
Wind pressure O.P
Proof against climate performance (PACP) O.P
Durability O.P
Repetitive operation (RO) O.P
Stability O.P

E.P : Energy Performance, O.P : Other Performance

*

액티브 기술 패키지의 설비 제품 성능 항목

제로에너지 빌딩에 적용되는 액티브 기술 패키지는 패시브 기술패키지와 달리 각각의 건축물에 필요한 냉·난방, 조명, 환기 설비등을 구성하기 위해 각 설비 제품을 선택하고 적용한다. 따라서 각 설비 제품의 성능을 확인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는 기존의 고효율 인증 제품 및 효율등급의 최고 등급 제품의 성능 확인 항목을 확인하여 구성하였다. 액티브 기술 패키지의 설비 제품 항목은 온열원(Heat Source), 냉열원(Cooling Source), 펌프(Pump), 팬(Fan), 조명(Lighting) 및 신재생에너지 열원(Renewable Heat Source)로 구분하였다. 또한 온열원은 각각의 설비 제품을 기준으로 가정용 가스보일러, 전기냉난방기, 멀티전기 히트펌프시스템,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 직화흡수식 냉온수기, 기름연소 온수보일러, 가스히트펌프, 가스 진공온수보일러 구성하였다. 냉열원은 전기냉방기, 전기냉난방기, 멀티전기히트펌프시스템, 원심식 스크류냉동기, 가스히트펌프, 중온수 흡수식냉동기로 구성하였다. 펌프는 단일 품목으로 구성하고 팬은 열회수형 환기장치와 원심식 송풍기로 구성하였다. 조명은 컨버터 외장형 LED램프, 매입형 및 고정형 LED등기구, 직관형 LED램프, 형광램프 개체형 LED램프로 구성하고 신재생에너지 열원은 태양열시스템과 지열히트펌프시스템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각 설비 제품의 성능은 Table 3과 같이 각각의 성능항목을 제안하여 구성하였다.

Table 3. Performance contents of Equipment

Category Equipment Name Name of Performance
Heat Source Domestic gas-fired boilers Heating thermal efficiency
Electric chillers and heaters HSPF
Multi electric heat pump system COP
Gas-fired boilers for industry and buildings Thermal efficiency
Direct fired absorption cold and hot water dispensers IPLV
Oil-fired hot water boilers Heating efficiency
Gas-fired heat pumps Heating COP
Gas-fired vacuum hot water boilers Heating efficiency
Cooling Source Refrigerators CSPF
Electric chillers and heaters CSPF
Multi electric heat pump system IEER
Centrifugal and screw chillers Energy efficiency
Direct fired absorption cold and hot water dispensers IPLV
Gas-fired heat pumps Cooling COP
Medium-temperature absorption chillers IPLV
Pump Pump Efficiency
Fan Energy recovery ventilators Heat transfer efficiency
Centrifugal fans Efficiency
Lighting External convertor type LED lamps Luminous efficiency
Recessed LED luminaires and fixed LED luminaires Luminous efficiency
Tubular LED lamps Luminous efficiency
LED lamps for replacing fluorescent lamps Luminous efficiency
Renewable Heat Source Solar thermal collectors Collector performance
Ground Source Heat Pump Unit COP

기술 패키지 성능 측정 방안 및 성능기준

패시브 기술 패키지의 성능 측정 방안 및 성능 기준

제로에너지 빌딩을 구성하기 위한 패시브 기술 패키지의 성능은 기존의 다양한 건축자재의 성능을 DB화하여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제로에너지 빌딩을 달성하기 위한 고효율/고성능의 건설자재로 제안되어야 한다. 이때 각각의 성능 항목은 실제 자재 별 모듈 별 공인된 측정방안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성능 수치를 확인하여 제로에너지 빌딩을 위한 인벤토리에 적용하는 최소한의 성능 기준의 제안이 필요하다. 성능 측정 방법은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KS규격을 기본으로 활용하고 필요한 경우에 따라 국가 고시 및 해당 자재의 성능 측정 방법을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벽체 자재인 단열재의 경우, KS L 9106을 통해 단열재의 열전도율을 측정하고 ‘건축물 에너지 절약설계기준(BEDS)’에서 제안하는 최고 등급의 단열재를 성능 기준 으로 제안하였다. 불연·준불연 성능은 KS F ISO 1192, KS F ISO 5660-1, KS F 2271을 활용하여 확인하고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BEFS)’에서 제안하는 합격기준을 성능기준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흡수율은 KS M ISO 2896을 활용하여 성능을 측정하고 KS M ISO 4898에서 제안하는 단열재 종류별 흡수율을 제안하였다. 내·외장재는 KS F 2277을 통해 열관류율 및 열 저항을 측정하고 , KS 9016을 통해 열전도율을 측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성능 기준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통해 열관류율을 제안하고, KS F 4040을 통해 열전도율, KS F 3504를 통해 열 저항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외에 불연/준불연/난연 성능, 흡수시 내박리성, 함수율, 염수분부시험 성능, 내충격성은 각각 KS F ISO 1182, KS F ISO 5660-1, KS F 2271, KS F 3504, KS D 9502, KS F 4760을 활용하여 측정 방법을 제안하였고 성능 기준은 단열재와 마찬가지로 불연/준불연/난연 성능은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을 기준으로 활용한다. 흡수시 내박리성과 함수율의 성능기준은 KS F 3504를 활용하고 염수분무 시험성능과 내충격성은 KS F 4760을 활용한다.

창호 자재의 유리부는 KS F 2278을 활용하여 열관류율 측정방법을 제안하고 성능 기준은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활용하였다. SHGC는 성능 측정 방법으로 KS L 9107을 활용하고 성능 기준은 패시브하우스(PHI)의 기준을 선정하였다. 다만 차염성은 KS F 2845의 시험방법을 활용하나 별도의 최소 성능 기준을 제안하지 않았다. 창틀 자재 또한 열관류율의 측정은 KS F 2278을 활용하고 문의 심재는 열전도율을 측정하기 위해 KS L 9106을 선정하였다. 두 자재의 성능 기준은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활용하였다.

일사조절장치의 슬랫/루버/블라인드는 풍속저항을 확인하기 위해 ASTM 331을 성능 측정방법과 성능 기준으로 활용하고 염수분무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KS D 9502를 성능 측정 방법으로 활용하고 KS D 8334을 통해 성능 기준을 도출하였다.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은 KS B 0802를 활용하여 성능 측정 및 기준을 제안하였다. SHGC의 경우는 KS L 9107로 측정하되 성능 값의 기준은 제안하지 않았다. 촉진 내후성은 KS C 8568을 활용하여 시험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고 부하하중, 머리끼임, 고정장치 내구도 엉킴방지, 누적확인은 ‘공급자적합성확인기준 부속서 7’을 활용하였으며, 구동모터의 반복작동 성능은 KS C 6021을 활용하여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Table 4는 성능별 측정 방법 및 기준을 나타낸다.

Table 4. Test methods and performance reference about material

Material type Name of Performance (Unit) Performance Test method Performance Standard
Insulation Thermal conductivity (W/m·K) ▼ 0.034 KS L 9106 BEDS
Fireproof (-) Pass KS F ISO 1182 KS F ISO 5660-1 KS F 2271 BEFS
Water absorption (%)-EPS ▼ 6 KS M ISO 2896 KS M ISO 4898
Water absorption (%)-XPS ▼ 1
Water absorption (%)-PUR ▼ 4
Water absorption (%)-PF ▼ 4
Interior/ Exterior Thermal conductivity (W/m·K) ▼ 0.15 KS F 2277 BEDS
U-value (W/㎡·K) ▼ 0.071 KS L 9016 KS F 4040
Thermal resistance (㎡·K/W) ▲ 0.043 KS F 2277 KS F 3504
Bond strength (N/㎟) ▲ 0.1 KS F 4716 KS F 4040
Length change (%) ▼ 0.5 KS F 2424 KS F 4040
Fireproof (-) Pass KS F ISO 1182 KS F ISO 5660-1 KS F 2271 BEFS
Peel resistance (-) Pass KS F 3504 KS F 3504
Water absorption (%) ▼ 3 KS F 3504 KS F 3504
Salt spray resistance (-) Pass KS F 9502 KS F 4760
Impact resistance (-) Pass KS F 4760 KS F 4760
Glazing U-value (W/㎡·K) ▼ 0.9 KS F 2278 BEDS
SHGC (-) ▲ 0.5 KS L 9107 PHI
F.I.P (min) - KS F 2845 -
Frame U-value (W/㎡·K) ▼ 0.9 KS F 2278 BEDS
Insulation Thermal conductivity (W/m·K) ▼ 0.034 KS L 9106 BEDS
Slat/Louver/ blind (Exterior) SHGC (-) - KS L 9107 -
Wind pressure (-) Pass ASTM 331 ASTM 331
Salt spray resistance (RN) ▲ 8 KS D 9502 KS D8334
Tensile strength (N/㎟) 200 ~ 260 KS B 0802 KS B 0802
Yield strength (N/㎟) 200 ~ 240 KS B 0802 KS B 0802
Elongation (%) 5 ± 3 KS B 0802 KS B 0802
Accelerated weathering (-) Pass KS C 8568 KS C 8568
Slat/Louver/ blind (Interior) SHGC (-) - KS L 9107 -
Tensile strength (N/㎟) 200 ~ 260 KS B 0802 KS B 0802
Yield strength (N/㎟) 200 ~ 240
Elongation (%) 5 ± 3
Accelerated weathering (-) Pass KS C 8568 KS C 8568
Weight load (-) Pass APP.7 APP.7
Head stuck (-) Pass
Durability (-) Pass
Prevention of tangling (-) Pass
Accumulation device (-) Pass
Motor Repetitive operation (Time) ▲ 100,000 KS C 6021 KS C 6021

▲ : or More △ : More than ▼ : or less ▽ : Under

패시브 모듈의 경우, 자재 간의 성능의 결합으로 성능을 확인할 수 있고 모듈에 대한 실제 물리적 시험 방법을 통해서도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벽체 모듈의 경우, KS F 2277을 통해 열관류율을 확인하고 벽체 간 접합 시 발생하는 열교성능은 ISO 1022-1로 측정하도록 선정하고 각각의 성능 기준은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통해 제안하였다.

창 모듈은 KS F 3117을 기준으로 ‘창 세트’로 규정하고 성능과 측정방안을 참고하였다. 열관류율은 KS F 2278을 통해 확인하고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통해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통기량은 KS F 2292를 통해 측정하고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을 참고하여 성능기준을 제안하였다. SHGC는 KS L 9107을 통해 성능을 측정하고 ‘패시브하우스’규정을 확인하여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결로 방지 성능을 위한 TDR 값 또한 KS F 2295를 통해 시험하고 ‘공동주택 결로 방지를 위한 설계기준(Design Criteria for Condensation Prevention, DCCP)’을 통해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변위/휨, 누수 정도, 손잡이대 휨량, 개폐력은 각각 KS F 2296, KS F 2293, KS F 2239, KS F 2237을 통해 시험하고 성능 기준은 KS F 3117을 참고하였다. 변색/탈색 성능은 KS C 8568을 통해 시험과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고 개폐 반복성은 창의 형태에 따라 KS F 3019와 KS F 4543을 시험방법으로 활용하고 KS F 3117을 성능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음향감쇠계수는 KS F ISO 10140-2를 시험 방법 및 성능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문 모듈은 창 모듈과 유사하게 KS F 3109를 기준으로 ‘문 세트’로 규정하고 성능기준과 측정방안을 선정하였다. 열관류율은 KS F 2278을 통해 확인하고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통해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통기량은 KS F 2292를 통해 측정하고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High-efficiency certification, HEC)’을 참고하여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차염성/차열성은 KS F 2268-1을 통해 성능 측정 방법과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고 차연성을 확인하기 위한 공기 누설량은 KS F 2846을 통해 측정 방법과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일사변색/탈색은 KS C 8568을 통해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구성하였고 음향감쇠계수는 KS F ISO 10140-2를 통해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변위 및 휨량은 KS F 2296, 누수 정도는 KS F 2293, 손끼임 방지성능은 KS 3109, 개폐력은 KS F 2237을 통해 각각의 성능 측정 방안을 구성하였고 KS F 3117을 통해 각 성능 별 기준을 제안하였다.

일사조절장치 모듈은 ‘창 세트’나 ‘문 세트’와 같이 별도의 모듈에 대한 정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자재의 성능 측정 방법과 성능 기준을 일사조절장치 모듈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Table 5는 각 모듈의 성능별 성능 측정 방법과 성능기준을 나타낸다.

Table 5. Test methods and performance reference about module

Category Name of Performance (Unit) Performance Test method Performance Standard
Wall-Module U-value (W/㎡·K) ▼ 0.15 KS F 2277 BEDS
Linear U-value (W/m·K) ▼ 0.4 ISO 10221-1 BEDS
Window Set-Module U-value (W/㎡·K) ▼ 0.9 KS F 2278 BEDS
Air flow rate (㎥/h·㎡) ▼ 1.0 KS F 2292 ESL
SHGC (-) ▲ 0.5 KS L 9107 PHI
TDR (-)-by each local area ▼ Standard KS F 2295 DCCP
Wind pressure (-) Pass KS F 2296 KS F 3117
Watertightness (-) Pass KS F 2293 KS F 3117
DBP (-) Pass KS C 8568 KS C 8568
Handle strength (-) Pass KS F 2239 KS F 3117
OCF (N) ▼ 50 KS F 2237 KS F 3117
ROOC (time) ▲ 10,000 KS F 3109/4534 KS F 3117
R (dB, 500Hz) ▼ 40 KS F ISO 10140-2 KS F ISO 10140-2
Door Set-Module U-value (W/㎡·K)-Door ▼ 0.9 KS F 2278 BEDS
U-value (W/㎡·K)-Fire door ▼ 1.4
Air flow rate (㎥/h·㎡) ▼ 1.0 KS F 2292 HEC
TDR (-)-by each local area ▼ Standard KS F 2295 DCCP
Wind pressure (-) Pass KS F 2296 KS F 3109
Watertightness (-) Pass KS F 2293 KS F 3109
Fireproof (-) Pass KS F 2268-1 KS F 2268-1
SPP (㎥/min·㎡, △25 Pa) ▼ 0.9 KS F 2846 KS F 2846
Stability (-) Pass KS F 3109 KS F 3109
OCF (N) ▼ 50 KS F 2237 KS F 3109
DBP (-) Pass KS C 8568 KS C 8568
R (dB, 500Hz) ▼ 40 KS F ISO 10140-2 KS F ISO 10140-2
Solar Control Device-Module SHGC (-) - KS L 9107 -
Wind pressure (-) Pass ASTM 331 ASTM 331
Salt spray resistance (RN) ▲ 8 KS D 9502 KS D8334
Tensile strength (N/㎟) 200 ~ 260 KS B 0802 KS B 0802
Yield strength (N/㎟) 200 ~ 240 KS B 0802 KS B 0802
Elongation (%) 5 ± 3 KS B 0802 KS B 0802
Accelerated weathering (-) Pass KS C 8568 KS C 8568
Weight load (-) Pass APP.7 APP.7
Head stuck (-) Pass
Durability (-) Pass
Prevention of tangling (-) Pass
Accumulation device (-) Pass
Repetitive operation (Time) ▲ 100,000 KS C 6021 KS C 6021

▲ : or More △ : More than ▼ : or less ▽ : Under

액티브 기술 패키지의 성능 측정 방안 및 성능 기준

액티브 기술 패키지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기술 패키지를 구성하는 모듈의 구성 방안에 따라 각각의 설비로 구성하기 때문에 각각의 설비 제품의 성능 측정 방안 및 성능 기준을 제안하였다. 해당 제품들은 한국에너지공단에서 관리하는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과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을 기준으로 활용하여 각 규정에서 제안하는 성능 측정 방법의 성능 기준을 만족하여야 함으로 성능 항목 및 성능 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온 열원(Heat source)으로 구분된 설비 제품으로 가정용 가스보일러는 난방 열효율, 전기냉난방기는 에너지소비효율(HSPF), 멀티전기히트펌프시스템은 난방효율(COP)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성능 기준을 활용하였다.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는 열효율, 직화흡수식 냉온수기는 통합성능계수(IPLV), 기름연소 온수보일러는 난방 효율, 가스히트펌프는 난방성적계수, 가스 진공온수보일러는 열효율로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의 성능기준을 활용하였다.

냉 열원(Cooling source)으로 구분된 설비 제품으로 전기냉방기 및 전기냉난방기는 에너지소비효율(CSPF), 멀티전기 히트펌프시스템은 통합냉방효율(IEER)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의 최고 등급 기준을 참고하였다. 원심식 스크류 냉동기는 에너지효율(kW/USRT), 직화흡수식 냉온수기는 통합성능계수(IPLV), 가스히트펌프는 냉방성적계수, 중온수 흡수식냉동기는 통합성능계수(IPLV)로 선정하였고 성능 기준들은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의 성능기준을 참고하였다.

펌프는 종합효율이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의 성능기준을 만족하도록 선정하였고 팬은 열회수형환기장치의 냉·난방시 유효전열교환효율로 선정하였고 원심식 송풍기는 공칭효율 적합성을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의 성능기준을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조명은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의 성능기준을 참고하여 컨버터 외장형 LED 램프, 직관형 LED램포, 형광램프 개체형 LED램프의 광효율 기준으로 선정하고 매입형 및 고정형 LED등기구는 등기구 효율로 선정하였다. 신재생에너지열원은 태양열시스템과 지열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구분하였고 태양열시스템은 KS B 8295를 참고하여 집열기 성능, 지열히트펌프시스템은 난방효율(COP)과 냉방효율(COP)로 KS B 8292를 참고하여 선정하였다. Table 6은 각 설비 제품의 성능 기준 및 성능 측정방법을 나타낸다.

Table 6. Test methods and performance reference about equipment

Equipment Name Name of Performance (Unit) Performance Reference Standard
Domestic gas-fired boilers Heating thermal efficiency (%) ▲ 91.0 ESL
Electric chillers and heaters HSPF (-) ▲ 5.0 ESL
Multi electric heat pump system COP (-) ▲ 5.0 ESL
Gas-fired boilers for industry and buildings Thermal efficiency (%) ▲ 88 HEC
Direct fired absorption cold and hot water dispensers IPLV (-) ▲ 1.41 HEC
Oil-fired hot water boilers Heating efficiency (%) ▲ 82 HEC
Gas-fired heat pumps Heating COP (-) ▲ 1.4 HEC
Gas-fired vacuum hot water boilers Heating efficiency (%) ▲ 88 HEC
Refrigerators CSPF (-) ▲ 5.0 ESL
Electric chillers and heaters CSPF (-) ▲ 5.0 ESL
Multi electric heat pump system IEER (-) ▲ 5.0 ESL
Centrifugal and screw chillers Energy efficiency (-) ▼ 0.7 HEC
Direct fired absorption cold and hot water dispensers IPLV (-) ▲ 1.41 HEC
Gas-fired heat pumps Cooling COP (-) ▲ 1.2 HEC
Medium-temperature absorption chillers IPLV (-) ▲ 0.83 HEC
Pump Efficiency (-) Pass HEC
Energy recovery ventilators Heat transfer efficiency (%) ▲ 45 (Cooling) ▲ 70 (Heating) HEC
Centrifugal fans Efficiency (-) Pass HEC
External convertor type LED lamps Luminous efficiency (lm/W) ▲ 85 HEC
Recessed LED luminaires and fixed LED luminaires Luminous efficiency (lm/W) ▲ 95 HEC
Tubular LED lamps Luminous efficiency (lm/W) ▲ 130 HEC
LED lamps for replacing fluorescent lamps Luminous efficiency (lm/W) ▲ 105 HEC
Solar thermal collectors Collector performance (MJ/㎡) ▲ 7.64 KS B 8295
Ground Source Heat Pump Unit COP (-) ▲ 3.78 KS B 8292

▲ : or More △ : More than ▼ : or less ▽ : Under

결 론

본 연구는 제로에너지빌딩에 필요한 기술 패키지 구성 시 인벤토리에 축적되는 건축 자재 및 설비 제품의 성능 측정 방법 및 성능 기준을 정리하고 이를 적절하게 분류하여 제로에너지 빌딩 기술패키지에 적합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기술패키지를 구성하는 건축 자재 및 설비 제품을 분류하여 각 항목에서 에너지 수요 예측을 위해 수행하는 에너지해석 시 필요한 에너지 해석 성능과 수요자의 선택에 필요한 내구성 및 기타 성능으로 표현되는 신뢰성 정보로 구분하여 패시브 기술패키지와 액티브 기술패키지의 자재, 모듈의 성능 항목을 제안하였다.

각 패시브 기술 패키지의 건축자재에 대한 성능 측정 방안을 한국산업규격, 효율관리기자재운영규정, 고효율관리기자재,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 등을 통해 제안하였고 액티브 기술패키지에 구성되는 설비 제품의 성능 측정 방안은 효율관리기자재운영규정과 고효율관리기자재 규정으로 제안하였다. 이때 제로에너지빌딩 구성 시 필요한 성능 기준을 국가 규정 및 규격을 통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제로에너지빌딩 구성 시 필요한 고성능/고효율의 건축자재 및 설비에 대한 공인된 성능 측정 방법과 최소 성능기준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입니다(No.20162010104270).

References

1
성욱주. (2017). 국내 제로에너지빌딩 기술현황 및 전망. 건축, 61(4), 13-16.
2
조 수, 성욱주, 임민엽, 김석현. (2018). 제로에너지빌딩의 기술패키지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12(3), 253-263.
3
조 수, 한설이, 성욱주, 김석현. (2017). 제로에너지빌딩의 기술 패키지 적용을 위한 에너지성능 평가 도구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 제안.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11(4), 319-330.
4
국토교통부. (2015).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 확산 방지구조 기준.
5
국토교통부. (2018).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6
산업통상자원부. (2018).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
7
산업통상자원부. (2018).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
8
KS B 0802. (2013). 금속 재료 인장 시험 방법.
9
KS B 8292. (2015). 물-물 지열원 열펌프 유닛.
10
KS B 8295. (2015). 태양열 집열기(평판형, 진공관형, 고정집광형).
11
KS C 6021. (2014). 전자 부품의 기계적 반복 동작 시험 방법.
12
KS C 8568. (2015). 태양광집광채광기.
13
KS D 8334. (2015). 도금의 내식성 시험 방법.
14
KS D 9502. (2014). 염수 분무 시험 방법(중성, 아세트산 및 캐스 분무 시험).
15
KS F 2237. (2017). 창호의 개폐력 시험 방법.
16
KS F 2239. (2013). 창호의 손잡이대 강도 시험 방법.
17
KS F 2268-1. (2014). 방화문의 내화시험방법.
18
KS F 2271. (2016). 건축물 마감재료의 가스유해성 시험방법.
19
KS F 2277. (2017). 건축용 구성재의 단열성능 측정 방법-교정 열상자법 및 보호열상자법.
20
KS F 2278. (2017). 창호의 단열성 시험방법.
21
KS F 2292. (2013). 창호의 기밀성 시험방법.
22
KS F 2293. (2013). 창호의 수밀성 시험 방법.
23
KS F 2295. (2014). 창호의 결로 방지 성능 시험 방법.
24
KS F 2296. (2014). 창호의 내풍압 시험 방법.
25
KS F 2424. (2015).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의 길이 변화 시험 방법.
26
KS F 2845. (2013). 유리구획 부분의 내화 시험방법.
27
KS F 2846. (2013). 방화문의 차연 시험방법.
28
KS F 3109. (2016). 문 세트
29
KS F 3117. (2015). 창 세트.
30
KS F 3504. (2018). 석고보드 제품.
31
KS F 4040. (2014). 단열모르타르.
32
KS F 4534. (2016). 새시용 호차(창문바퀴) 및 부속물
33
KS F 4716. (2016). 시멘트계 바탕 바름재.
34
KS F 4760. (2016). 이중 바닥재.
35
KS F ISO 10140-2. (2016). 음향-건물 부재의 차음 성능 실험실 측정방법-제2부:공기 전달음 차단성능 측정방법.
36
KS F ISO 1182. (2016). 건축재료의 불연성 시험방법.
37
KS F ISO 5660-1. (2018). 연소성능시험-열방출, 연기발생, 질량감소율-제1부 : 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38
KS L 9016. (2017). 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 방법.
39
KS L 9107. (2014). 솔라 시뮬레이터에 의한 태양열 취득률 측정 시험방법.
40
KS M ISO 2896. (2015). 경질 발포 플라스틱-흡수율의 측정.
41
KS M ISO 47898. (2013). 경질 발포 플라스틱-건축물 단열재-규격서
42
ASTM 331. (2016). Standard Test Method for Water Penetration of Exterior Windows, Skylights, Doors, and Curtain Walls by Uniform Static Air Pressure Difference.
43
ISO 10211-1. (1995). Thermal bridges in building construction - Heat flows and surface temperatures - Part 1: General calculation methods.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